송진호 문화예술단체 ‘천율’ 대표
송진호 문화예술단체 ‘천율’ 대표
20년 넘게 국악인으로 활동하며 지난해 ‘한국문화유산 명장’에 오른 송진호(34) 대표는 고향 경남 의령에서 문화예술단체 ‘천율’을 이끌며 지역 사회에 새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대한민국 최연소 명장이기도 한 그는 한때 조선 3대 예술단체 중 하나로 꼽힌 ‘신반대광대’의 주요 무대였던 의령이 소멸 위기에 놓이자 직접 지역 문화 부흥에 나서겠다고 마음먹었다.
송 대표는 “의령은 풍류가 살아 숨 쉬던 고장이지만 어느새 전통문화의 명맥마저 흔들릴 정도로 사람이 줄었다”며 “지역의 전통 속에서 지금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역동성과 새로움을 찾고 싶었다”고 말했다.
인구 2만 4671명. 경남 최저 수준의 작은 군(郡)인 의령은 청년 비율도 20%가 채 되지 않는다. 송 대표는 “청년들이 떠나는 건 결국 즐길 문화가 없어서”라며 “문화 갈증이 심해지면 공동체 기반도 약해지고 그 악순환을 끊지 못하면 지역 회복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2022년 삼성의 ‘청년희망터’ 1기에 참여하면서 오랫동안 품어 온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의령 도깨비 설화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도깨비난장’ 공연과 국내 최초로 기획한 ‘100인 농악’ 무대에는 1100명의 관객이 찾았다. 직접 공연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주민·청년과의 관계도 더욱 단단해졌다.
송 대표는 의령이 일시적인 ‘축제 효과’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그는 “청년들이 돌아오려면 ‘의령’이라는 이름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가 돼야 한다”며 “전통 공연으로 생긴 활기가 지역 상권과 공동체로까지 번질 수 있도록 청년·상공인·명인·장인들이 함께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자체의 청년 정착 정책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체험형 프로그램은 금세 효과가 사라진다”며 “지역으로 돌아온 청년이 실제로 정착해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이 지역 주민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도록 세심한 행정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의령의 옛 흥과 생기를 충분히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11-14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