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이산가족 상봉 제안…이번엔 성사될까

朴대통령 이산가족 상봉 제안…이번엔 성사될까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1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이산가족 상봉 논의에 응할 가능성 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 축사를 통해 북한에 추석을 전후로 한 이산가족 상봉을 공식 제안함에 따라 그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정부가 적극성을 보이는 만큼 북한이 이에 전향적으로 호응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커 보인다.

통일부는 이산가족 상당수가 고령이라는 점을 고려해 상봉 성사를 위한 후속 조치들을 조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르면 16일 중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이산상봉 행사를 위한 적십자 회담을 제안하는 통지문을 정식으로 북측에 보낼 예정이다.

북한은 이산가족이 민족의 비극이라면서 이러한 인도주의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했다고 강조해왔다.

특히 북한은 지난달 10일 2차 실무회담이 열리는 와중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과 금강산 관광 재개 실무회담 개최를 먼저 제안했다.

당시 남측이 개성공단 실무회담을 이유로 적십자 실무접촉만 수용하자 북측은 두 회담 모두 보류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14일 개성공단 회담 타결로 다시 이산가족 상봉이 논의될 여건이 마련됐다.

북한이 그동안 박 대통령을 염두에 둔 ‘화해 제스처’를 여러 차례 반복했던 점을 고려했을 때 박 대통령의 이번 제안에도 성의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북한은 박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집권했을 때 남북이 합의한 7·4공동성명을 공동으로 기념하자고 제안한 바 있고, 지난 2002년 박 대통령이 유럽-코리아 재단 이사 자격으로 방북했을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합의했던 대로 지난달에는 북측 댐 방류 계획을 남측에 사전 통보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산가족 문제를 협상카드로 활용하려 했던 북한의 과거 행태로 미뤄봤을 때 이번에도 이산가족 상봉을 개성공단 재가동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 등과 연계할 가능성이 있다.

이산가족 상봉 회담에 응하기는 하겠지만 개성공단의 재가동 속도에 맞춰 호응 수위와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일단 개성공단 재가동 상황을 보고 움직일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9월 중 이산가족 상봉은 어렵고, 개성공단이 9월 중 재가동된다면 10월 중에는 상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는 “전례로 보면 이산가족 문제는 대북 식량, 비료 지원과 연계돼 있었다”라며 “북측이 이를 먼저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번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면 2010년 11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이뤄지는 것이 된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분단 후 처음으로 이뤄진 이후 2000년부터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통해 남북 양측에서 4천321가족, 2만1천734명이 만났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 이뤄지다 남북관계 경색으로 2008년에는 성사되지 못했고, 2009년과 2010년 한 차례씩 이뤄진 이후 현재까지 3년 가까이 중단된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