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그룹의 주요 사업 부문은 지난 2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나란히 성장했다. 이랜드의 가성비 전략이 경기 침체 시기에 되레 주목받는다.
지주사 이랜드월드의 2분기 연결기준 매출(1조 4074억원)과 영업이익(860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6%, 19% 늘었다. 특히 패션 부문은 5년 연속 성장했는데 스파오, 후아유 등이 10~ 20%의 성장세를 보였다. 대량 공동 발주로 원가를 줄인 덕에 고품질의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제공할 수 있었다.
외식 계열사 이랜드이츠는 올해 매출이 처음 6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뷔페 레스토랑인 애슐리가 불황형 소비 추세와 맞물려 전성기를 맞은 덕분이다. 이랜드리테일의 실적 상승은 ‘델리 바이 애슐리’ 효과가 컸다. 킴스클럽과 뉴코아아울렛 등에서 애슐리의 인기 메뉴를 3990원 균일가에 파는 콘셉트인데, 누적 판매량이 700만개를 넘는다.
이랜드는 중국 패션 시장에서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비결은 디자인과 발주, 생산, 판매까지 이틀이 걸리는 ‘2일 체제’를 필두로 한 생산 혁신이다. 이랜드차이나가 지난해 상하이에 문을 연 대규모 산업단지 ‘이랜드 E-이노베이션 밸리’엔 ‘렌화루 스피드 팩토리’가 있다. 물류 인프라와 촬영 스튜디오까지 집약돼 있어 트렌드에 맞춰 옷을 만들고 고객 반응도 빠르게 확인한다. 지난해 이랜드차이나는 1조 28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주사 이랜드월드의 2분기 연결기준 매출(1조 4074억원)과 영업이익(860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6%, 19% 늘었다. 특히 패션 부문은 5년 연속 성장했는데 스파오, 후아유 등이 10~ 20%의 성장세를 보였다. 대량 공동 발주로 원가를 줄인 덕에 고품질의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제공할 수 있었다.
외식 계열사 이랜드이츠는 올해 매출이 처음 6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뷔페 레스토랑인 애슐리가 불황형 소비 추세와 맞물려 전성기를 맞은 덕분이다. 이랜드리테일의 실적 상승은 ‘델리 바이 애슐리’ 효과가 컸다. 킴스클럽과 뉴코아아울렛 등에서 애슐리의 인기 메뉴를 3990원 균일가에 파는 콘셉트인데, 누적 판매량이 700만개를 넘는다.
이랜드는 중국 패션 시장에서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비결은 디자인과 발주, 생산, 판매까지 이틀이 걸리는 ‘2일 체제’를 필두로 한 생산 혁신이다. 이랜드차이나가 지난해 상하이에 문을 연 대규모 산업단지 ‘이랜드 E-이노베이션 밸리’엔 ‘렌화루 스피드 팩토리’가 있다. 물류 인프라와 촬영 스튜디오까지 집약돼 있어 트렌드에 맞춰 옷을 만들고 고객 반응도 빠르게 확인한다. 지난해 이랜드차이나는 1조 28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2025-09-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