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 영향에 유가 동반 상승
휘발유·경유 격차 100원도 안 돼
경기 오산에 사는 직장인 김모(32)씨는 최근 주유소를 찾았다가 리터(ℓ)당 1700원에 육박하는 휘발유 가격을 보고 한숨을 내쉬었다. 김씨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알뜰주유소마저 너무 올라 주유하기 겁이 난다”고 토로했다.
기름값이 ‘고공행진’을 이어 가며 시민 부담도 커지고 있다. 2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3주 휘발유 판매가격은 전주 대비 25.8원 오른 ℓ당 1729.7원, 경유는 38.5원 오른 1636.6원으로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최근 국내 유가 상승은 고환율 영향이 크다. 정유사가 원유를 전량 달러로 결제하는 만큼 환율 상승분이 반영된다. 국내 원유 도입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국내 가격과 달리 10월 이후 하락세인 것과 정반대 흐름이다.
정부가 지난 1일부터 휘발유 유류세 인하율을 기존 10%에서 7%로,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 인하율을 15%에서 10%로 하향 조정한 것도 인상 요인으로 평가된다. 휘발유에 부과되는 유류세는 ℓ당 25원, 경유는 29원 올랐다. 유가 상승은 생활물가를 자극해 가계 부담을 높일 수밖에 없다. 물가 상승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내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동절기에 에너지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유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내년에는 부담이 일부 완화될 전망이다. 홍성욱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석유수출국기구플러스(OPEC+)의 증산 확대 기조로 국제 유가는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미국 금리인하 등으로 환율도 다소 안정될 것으로 예상돼 국내 기름값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2025-11-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