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는 냉정한 지성 마비시켜
순기능 있었지만 이제는 절제해야
보다 세련된 국가주의, 국민주의로
근대 일본 사람들은 왜 데모크라시(democracy)를 민주주의로 번역했을까. 길고 복잡한 사연이 있는 듯하지만 이 오역은 현대 한국에서 큰 혼란을 부르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민주주의는 데모크라시와 한참 멀어져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민주주의라는 단어에는 도덕 감정이 배어 있어 가치중립적이지 않다.게다가 민주주의는 이념, 하나의 이데아로 받아들여진다. 50년 전쯤 김지하가 “네 이름을 남몰래 쓴다 / 타는 목마름으로”라고 했던 그 비장미까지 갖추고 있다.
하지만 데모크라시는 주의(主義)도, 이념(理念)도 아니다. 그저 인류 역사에 나타났던 여러 정치체제 중 하나에 불과했다. 철학자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바로 그 데모크라시를 대를 이어 비판했다. 그들에게 데모크라시는 곧 중우정치, 선동정치에 지나지 않았다. 미국의 건국자들 역시 데모크라시의 그런 측면을 걱정했다. 그래서 그들은 공화국(republic)의 틀 안에 데모크라시를 가두려고 했다. 이 때문에 민주공화국이 탄생한 것이다.
아름답기만 한 상상 속 공주가 아니며 잘 다루지 않으면 괴물이 될 수도 있는 현실 속 데모크라시는 한국인의 관념 속 민주주의와 사뭇 다른 것이다. 요즘 한국 지식인들이 민주정, 민주정치 등의 단어로 민주주의를 대체하려고 애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마찬가지로 내셔널리즘(nationalism)을 민족주의로 번역하거나 거꾸로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민족주의라는 말을 내셔널리즘으로 번역하다 보면 큰 혼란이 빚어진다. 나는 오랫동안 “민족주의는 지성을 마비시키는 독약”이라고 외쳐 왔다. 하지만 누구도 선뜻 동조하지 않았다.
왜 그런가. ‘민족주의’라는 말이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주의자라는 말이 곧 민주화 운동가라는 뜻이었듯 민족주의자는 곧 독립운동가라는 의미였다. 그러니 감히 누가 민족주의에 부정적인 언사를 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내가 지난 50년 동안 봐 왔던 한국 사회에서의 민족주의는 열등감을 감추고 자신감을 갖게 하며 동시에 냉정한 지성을 마비시키는 작용을 하는 마치 독한 술이나 마약과 같은 역할을 해 왔다. 한 시대 순기능도 있었지만 이제는 절제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나는 종종 감정의 고조가 냉정한 이성을 누르는 한국 사회의 특징을 일찍부터 혐오했다. 내가 속했던 민주화 운동 진영 내에서는 독립운동의 전통을 잇는다고 자부하는 가당찮은 심리도 만연하고 “오라 남으로! 가자 북으로!”라는 민족 정서가 늘 모든 논리를 압도했다. 반일(反日)의 감정도 항상 지성을 마비시켜 왔다. 나는 이런 상황을 비판하지 않는 지식인들을 비겁하다고 봤다.
이제 세계정세는 글로벌리즘에서 내셔널리즘의 시대로 회귀하는 듯하다. 러시아나 중국의 자국 중심주의, 패권주의야 익숙하지만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아메리카 퍼스트’를 부르짖고 일본의 정치인들까지 ‘재팬 퍼스트’를 따라 외치는 시대에 어떻게 민족주의를 버리자는 무식한 말을 할 수 있느냐고 되묻는다. 언어의 혼란이다.
이런 시대가 불가피하게 내셔널리즘의 부활을 가져오기는 하겠지만 이 내셔널리즘은 국가주의나 국민주의로 번역돼야 할 것이다. 식민지 종속국에서 반제민족해방투쟁을 전개하는 가운데 발전한 민족주의, 특히 근대 한국의 민족주의와는 크게 다르다. 내셔널리즘이라고 다 같은 내셔널리즘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성공한 민주공화국의 자유 시민으로서 애국주의와 공화주의를 취하고, 식민지 시대 민족해방투쟁의 이데올로기로서 민족주의를 버려야 한다.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내셔널리즘이 있다면 그것은 보다 세련된 국가주의, 국민주의가 아닌가 싶다.
주대환 민주화운동동지회 의장
주대환 민주화운동동지회 의장
2025-11-25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