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철분 주사요법 효용성과 한계

[Weekly Health Issue] 철분 주사요법 효용성과 한계

입력 2012-07-09 00:00
수정 2012-07-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철결핍성 빈혈 치료 효과 기존 방식보다 안전 입증

김영우 교수는 이런 사례를 소개했다. 얼마 전 50대 남성 위암 환자가 병원을 찾았다. 다양한 검사를 통해 내린 결론은 수술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서둘러 수술전 검사를 시행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5㎎/㎗로 빈혈이 심해 수술이 어려웠다. 의료진의 판단은 수혈 대신 철분 주사요법을 적용하자는 것이었다. 결정 직후부터 환자에게 주사로 철분제제를 투여했다. 결과는 무척 좋아 환자는 3주 만에 헤모글로빈 수치가 10㎎/㎗까지 회복됐고, 수혈 없이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쳤다. 물론 예후도 좋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철분 주사요법은 적혈구의 주성분인 헤모글로빈 분자의 생성을 촉진해 인체의 산소 운반 능력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철 분자 하나가 산소 분자 하나를 붙잡아 인체 조직에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유지하게 한다. 이런 철분이 우리 몸 속에 존재하는 양은 3.5g에 불과하며, 음식을 통해 장에서 흡수되는 철분의 양 역시 하루 1∼2㎎의 미량이어서 외상 등으로 초래된 급성 실혈로 많은 양의 철분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면 이를 보충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

주사용 철분제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방법이다. 김 박사는 “최근 개발된 페릭 카복시 말토즈제제는 한번에 안전하게 1g까지 체내로 투여할 수 있다. 이는 우리 몸 전체 철분의 4분의1에 해당하는 양”이라면서 “여러 임상시험을 통해 이 철분제제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철결핍성 빈혈 치료에서 기존 방식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철분제제도 투여 전에 살펴야 할 문제가 있다. 먼저 체내에 이미 많은 양의 철분이 있거나 환자가 전신감염 상태라면 사용해서는 안 된다. 혈전색전증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철분 주사요법은 철분 결핍이 원인이 아닌 다른 형태의 빈혈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반드시 정확한 진단을 거쳐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7-0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