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승무원 267명 탄 퀸제누비아2호, 신안군 장산면 족도에서 좌초
목포해경, 비상대응체제 전환···함정 연안 구조정 총동원 구조 나서
대통령실, “인명피해 없도록 신속히 대처하라” 대통령 지시사항 전달
19일 오후 8시 17분쯤 제주를 출발 목포로 향하던 퀸제누비아2호가 신안군 장산도 해역서 좌초됐다. (목포해경 제공)
19일 밤 전남 신안 해상에서 승객과 선원 260여명이 탄 대형 여객선이 좌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해경이 현장에 급파돼 구조에 나섰다.
제주소방안전본부와 목포해양경찰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 17분쯤 제주에서 출발해 목포로 향하던 2만 6000t급 여객선 퀸제누비아 2호가 신안군 장산면 족도에 좌초됐다는 신고를 해경이 접수했다. 제주항에서 오후 4시 40분에 출발한 여객선에는 승객 246명과 승무원 21명 등 267명이 타고 있던 것으로 해경은 파악했다.
신고 직후 목포해경은 비상 대응 체계로 전환하고 현장에 경비정 등을 급파해 승객 안전을 확보했다. 해경은 함정 2대와 연안 구조정 1대를 이용해 승객들을 목포해경 전용부두로 이송했다.
해경에 따르면 이날 밤 10시 현재 좌초 당시 충격으로 현재까지 5명이 경상을 입었으며 해상 추락 등 다른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객선 앞머리 쪽에 파공이 발견됐으나 같은 시각까지 침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은 “배가 섬에 얹힌 상태라 자력 항해는 불가능하다”며 “승객 전원에게 구명조끼를 착용시키고 구조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사고 당시 해역은 기온과 수온이 모두 낮아 바다로 떨어질 경우 단시간에도 저체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다. 해경은 승객을 모두 이송한 뒤 만조 시각(20일 0시 22분)을 이용해 선박 재부양 여부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김민석 국무총리가 “해양경찰청과 관계기관은 가용 가능한 모든 선박과 장비를 즉시 투입해 승객 전원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하라”고 지시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대변인실 명의 공지를 통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지역 순방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현지에서 사고 관련 보고를 받은 직후 “인명피해가 없도록 신속히 사고 수습에 나서는 한편, 국민들께서 안심하실 수 있도록 구조 현황을 실시간 공개할 것을 관계 당국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