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학원, 학원…5분만 더 자고 싶어요” 잠 못 드는 아이들

“학교, 학원, 학원…5분만 더 자고 싶어요” 잠 못 드는 아이들

곽진웅 기자
곽진웅, 김서호 기자
입력 2024-05-02 17:53
업데이트 2024-05-02 1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교→학원→학원→학원→집’
공부 때문에 ‘잠 못 드는 아이들’
“제발 5분만 더 자게 해주세요”
아동행복지수, 100점 중 45.3점

이미지 확대
아동·청소년 평균 수면 및 공부시간
아동·청소년 평균 수면 및 공부시간
“보통 새벽 2시쯤 자요. 하루에 5시간, 길어야 6시간인데 다른 친구들에 비하면 많은 편이에요.”

매일 아침 7시 일어나 오답노트를 펼치고 아침밥을 먹는 김서연(16·가명)양의 하루는 ‘수업(학교)·수업(학원1)·수업(학원2)·자율학습’을 거쳐야 끝난다. 오전 8시 학교에 갔다가 오후 4시 30분 교문을 나선 뒤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내신 전문학원 최상위반 두 곳에서 오후 11시까지 수업을 받고 자율학습을 한다. 집에 오면 오후 11시 30분. 마음 같아선 침대로 뛰어들고 싶지만, 학교·학원 숙제까지 마쳐야 눈을 붙일 수 있다.

중학교 1학년 최서희(14·가명)양도 자정까지 학원 숙제를 하다 잠든다. 최양의 어머니는 “아이가 아침마다 ‘제발 5분만’을 외치면서 잘 일어나질 못해 안쓰럽다”며 “이동시간과 식사시간을 아끼려고 학원을 한군데 줄였는데 불안한 마음에 대신 집에서 과외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양과 최양뿐 아니라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 중 상당수는 하교 이후 학원 여러 곳을 뺑뺑이 도는 과도한 학습과 수면 부족의 굴레에 놓여 있다. 어린이날을 사흘 앞둔 2일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발표한 ‘2024년 아동행복지수’를 보면 11~19세 아동·청소년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2021년보다 15분 줄어든 7시간 59분, 평균 공부 시간(학교 수업 제외)은 28분 증가한 2시간 55분이었다. 하루 평균 운동 시간은 15분에 불과했다.

재단이 조사한 1만 140명 중 1902명(18.8%)은 권장 시간보다 짧게 자는 ‘과소 수면’ 상태였다. 아이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초등학생(저학년 9시간 39분·고학년 9시간 5분), 중학생(7시간 51분), 고등학생(6시간 32분) 등 대학입시에 가까워질수록 줄었다. 특히 이런 수면 부족이 지속되면서 불면을 겪는다고 답한 아이들도 전체의 13.1%나 됐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불면증을 겪는 아동·청소년(20세 미만)도 2020년 3851명, 2021년 4008명, 2022년 4381명으로 증가했다.

조사에 응한 아동·청소년 가운데 65.1%는 적정 시간 이상 공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공부시간은 고등학생(3시간 33분), 중학생(3시간 12분), 초등학생(저학년 2시간 17분·고학년 2시간 47분) 순이었다. 재단이 아이들의 생활시간과 설문조사 등으로 추산한 아동 행복 지수는 100점 만점에 45.3점에 그쳤다. 이성희 우석대 아동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학업 시간이 길고 수면 시간이 짧다는 것은 공부 외 선택할 수 있는 것들이 제한된다는 의미”라며 “당연히 행복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곽진웅·김서호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