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2명, LA에서 북한 실상 증언

탈북자 2명, LA에서 북한 실상 증언

입력 2012-05-15 00:00
수정 2012-05-15 15: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유 찾은 저같은 사람 천 명, 만 명 만들어달라”

“어릴 때 10차례 이상 공개 총살 장면을 봤습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찰스영 도서관 콘퍼런스룸에서 열린 국가인권위원회-UCLA 공동 국제 심포지엄에서 탈북자 데니 이(22) 씨는 17살 때 탈출한 북한은 ‘사람 사는 곳’이 아니라고 말했다.

중국을 거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본부를 둔 북한인권 단체 LINK의 도움으로 지금은 미국 서부 지역에 정착한 이씨는 2005년 겨울 북한을 탈출했다. 외할머니, 어머니와 함께 살던 그는 1년 전 중국으로 떠난 어머니가 연락이 끊기자 중국으로 탈북했다.

북한에서 고등학교를 중도에 그만뒀다는 이씨는 “북한의 학교는 학생들에게 공부를 가르치지 않고 일을 시키고 선생은 학생을 많이 때린다”며 “이런 환경에서 꿈과 미래를 생각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씨는 상상조차 못할 일을 북한에서 자주 봤다면서 10여차례 이상 공개 총살 현장을 목격했다고 털어놓았다.

많은 사람이 보는 앞에서 죄인이라며 총살하는데 공개 총살 땐 모든 가게 문을 닫게 한다고 이씨는 설명했다.

배가 고파 소를 잡아먹은 사람도 공개 총살을 당했다고 한다.

이씨는 “북한 사람도 태어날 때 세계 다른 사람과 똑같이 사람의 권리를 갖고 태어나지만 굶어 죽고 맞아 죽는다”며 “인간의 권리를 박탈당해 짐승보다 심한 취급을 받는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으로 건너온 탈북자들의 신세도 고단하기는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노동의 대가도 받지 못하고 차별당하고 일하는 짐승 취급을 당했다는 것이다.

미국 동부 지역에 사는 조진혜(25) 씨는 “식량이 부족한 북한 주민의 굶주림은 쥐와 뱀까지 먹을 정도”라며 “굶주림을 피하기 위해 중국으로 월경한 여성들은 공안에 체포되면 성적 희롱과 말할 수 없는 수치심을 겪는다”고 고발했다.

조씨는 “북한 정부의 간부였던 아버지는 식량난 이후 가족을 챙기다 감옥에서 숨졌다”면서 “이후 8가족 중 어머니와 여동생, 나만 살아남았다”고 말했다.

1994년 첫 탈북 후 4차례나 강제 북송을 당했다는 조씨는 지난 3월 미국 의회에서 어머니 한송화 씨와 함께 북한의 실상과 중국 내 탈북자들이 겪는 고초를 생생히 증언했던 인물이다.

조씨는 “자유를 찾은 나를 보면서 여러분이 저 같은 조진혜를 천 명, 만 명 만들어 달라”고 호소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라종일 전 영국 주재 대사가 북한의 인권 상황을 국가 권력에 의한 지속적인 인권 침해로 규정하는 기조연설을 했고 김성영 인권위원, 데이비드 호크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위원,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샌드라 파히 박사, 이기욱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LA 지회 고문, 해나 송 LINK 대표가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실상과 전망을 발표했다.

또 USC 한국학센터 데이비드 강 소장, 스탠퍼드대학 신기욱 교수, 국제구호단체 머시코(Mercy Corp) 활동가 데이비드 오스틴 등은 국제기구, 국제적 비정부기구를 통한 북한 인권 개선 방안 등을 토론했다.

연합뉴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