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EEZ 중첩지역… 담판으로 해결”

中 “EEZ 중첩지역… 담판으로 해결”

입력 2012-03-13 00:00
수정 2012-03-13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정부가 이어도 수역 관할권은 한국과의 담판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중국 외교부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12일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蘇巖礁)가 위치한 곳은 중국과 한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중첩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중국의 이어도 관할권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가 12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김재신 외교부 차관보와 면담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중국의 이어도 관할권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가 12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김재신 외교부 차관보와 면담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류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이어도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이어도가 아닌) 쑤옌자오라고 부른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과 한국은 쑤옌자오를 영토로 여기지 않으므로 영토 분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공통 인식을 갖고 있다.”며 “쑤옌자오 귀속 문제는 쌍방이 담판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류 대변인의 발언은 수중 암초인 이어도가 영토 분쟁의 대상이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다시 확인한 것이다. 양국은 1996년부터 EEZ 경계 획정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첫 항공모함인 바랴크함의 연내 취역 계획을 공식화했다. 쉬훙멍(徐洪猛) 해군 부사령관은 “연내 항공모함의 취역 계획이 잡혀 있다.”고 말했다고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해외판이 12일 보도했다.

북해함대 정치위원인 왕덩핑(王登平) 중장(한국의 소장 해당)은 인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는 300만㎢의 영해 안에 단 한 척의 항모(바랴크함)만을 갖고 있고 이는 과학 연구 및 훈련용이다.”라면서 “방어적 국방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증기 터빈 엔진을 갖춘 바랴크함은 소련 시절 건조한 쿠즈네초프급(6만 7500t) 항모로 갑판 길이가 302m, 최대 속력이 29노트다. 약 2000명의 승조원을 태우고 전투기 50여대를 탑재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3-1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