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알바(아르바이트)비를 떼여도 공동체 의식 때문에 고발하지 않았다’는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의 발언을 26일 강하게 비판했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와 이언주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와 이언주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 연합뉴스
노 원내대표는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이것이 바로 유신”이라고 일갈했다.
노 원내대표는 “강자가 공동체를 위해 약자에게 양보한다고 해야 말이 되는데, 반대로 약자가 공동체를 위해 강자에게 양보하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 의원의 발언을 쥐와 고양이의 관계로도 비유했다.
노 원내대표는 “쥐가 ‘고양이가 살아야 쥐도 산다는 생각에 고발하지 않았다. 이것이 공동체 의식이다. 쥐와 고양이는 동물공동체다’라고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또 “이런 발언은 ‘가정의 평화를 위해 가정폭력 정도는 눈 감아야지, 우리 회사 기업 이미지를 위해 직장 내 성폭력은 그냥 묻어두고 가야지. 그런 것 가지고 경찰서 들락거리느냐. 넌 공동체 의식이 없는 거야’라고 하는 것과 같다”면서 “조폭 문화가 딱 이렇다”고 비판했다.
앞서 이 의원은 전날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나도 알바를 한 적이 있고 월급을 떼인 적이 있다”면서 “사장이 망했다. 사장이 살아야 나도 산다는 생각에 노동청에 고발하지 않았다. 우리 사회의 이런 어떤 공동체 의식이, 함께 살아야 한다는 것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김서연 기자 w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