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래창조과학부 약칭 물밑 신경전

미래창조과학부 약칭 물밑 신경전

입력 2013-01-17 00:00
업데이트 2013-01-17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능·성격 규정… 부처 주도권과 연관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라 신설되거나 기능과 역할이 바뀐 부처들의 약칭을 놓고 부처 간 물밑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부처 이름을 어떻게 줄여서 부르느냐에 따라 기능과 성격이 규정 되고 이는 어떤 부서가 주도권을 갖게 될지와 연관되는 문제로 여기기 때문이다.

과학과 정보통신 등을 총괄하게 될 미래창조과학부의 약칭으로는 미래를 강조하는 ‘미래부’와 창조경제 등에 방점을 찍은 ‘창조부’가 거론되고 있다.

미래를 설계하는 기획부서의 성격을 강조하는 기획재정부는 미래부를 선호하지만, 과학계에서는 과학과 창조경제 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약칭의 뉘앙스나 어감을 두고 고심하는 부처도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민 안전을 강화한다는 취지에 따라 안전행정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하지만 안행부로 줄이면 ‘안 행복하다(행복하지 않다)’거나 ‘(아무것도) 안 해’라는 뜻으로 희화화될 수 있고 ‘안전부’로 부르자니 공안당국의 과거 명칭인 ‘안전기획부’나 미국의 국토안전부와 비슷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지식경제부에서 이름이 바뀐 산업통상자원부도 마찬가지다. 옛 산업자원부의 줄임말인 ‘산자부’가 있지만 이 약칭은 새로 추가된 통상업무 기능을 담지 못한다. 그렇다고 ‘산통부’나 ‘통자부’로 쓰기에는 어감이 문제다.

수산을 해양수산부에, 식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떼어 준 농림축산부는 ‘농축부’보다는 축산을 떼어낸 ‘농림부’로, 해수부가 분리된 국토교통부는 ‘국교부’보다는 ‘국토부’로 부르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얘기가 나온다.

한편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60여년 동안 국방부와 법무부는 한 번도 이름이 바뀌지 않았다.

법제처도 당시와 이름이 같지만, 중간에는 ‘법무부 법제실’, ‘국무원사무국 법제국’ 등으로 기능이 축소됐다가 1962년 법제처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1-17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