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정강정책 5·18, 6·15 제외 논란 속 광주서 창당대회
야권 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최근 불거진 정강정책 논란 속에 20일 야권의 심장부인 광주에서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이날 광주시당 창당대회에 참석한 안철수 창당공동준비위원장은 최근 6·15 남북공동선언과 5·18 민주화 운동 등을 정강정책에서 제외하는 문제로 지역 여론이 악화한 점을 의식해 몸을 낮췄지만, 지역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정신차리라”는 싸늘한 비판을 들어야 했다.
껄끄러운 장면은 안 위원장이 이날 오후 창당대회에 앞서 김한길 공동위원장과 함께 5·18 민주묘지를 찾았을 때부터 시작됐다.
안 위원장은 자신의 참배 전부터 묘지 앞에서 시위를 벌이던 시민단체 6·15공동위 광주전남본부 회원들에게 악수를 청했으나, 회원 중 한 명인 장헌권 씨는 “악수할 기분이 아니다. 정신차려서 역사 앞에 부끄럽지 않게 잘 하라”고 일갈했다.
안 위원장은 어두운 표정으로 “그런 생각을 한 적도 없고 말한 적도 없다. 안심하라”고 답했다.
참배 후 안 위원장은 기자들에게 “실무선 착오였지, 제 생각이 아니었다”고 거듭 설명했다.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광주시당 창당대회에는 1천명이 넘는 발기인과 지지자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지만 여기서도 시민단체와의 갈등이 표출됐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소속 10여명은 행사장 밖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역사인식을 분명히 하라’라는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유인물을 배포하며 “4·19, 5·18의 용어를 삭제하려 했던 행위에 대해 사과하라. 6·15, 10·4 선언을 명기하라”라고 촉구하는가 하면, “정강정책 입안과정에 참여한 인물 중 한반도 평화에 대한 역사인식에 문제가 있는 인물들을 배제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결국 안 위원장은 창당대회에서 “뜻하지 않은 논란으로 마음을 불편하게 했다”며 사과했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전 대전시당 창당대회에서도 “앞으로 남북화해와 민주화 의지를 더 확고히 계승 발전시키겠다”고 말하는 등 하루종일 낮은 자세를 취했다.
광주시당 창당대회 후에는 김 공동위원장과 함께 광주 무등시장을 방문, 민심을 살폈다.
야권에서는 이날도 논쟁이 계속됐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해 “강령이나 문구를 바꾸는 것이 새정치는 아니다”며 “헌법정신으로 표현되는 3·1운동과 4·19 혁명, 민주정부 10년의 역사를 계승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병두 의원은 이날 트위터에 글을 남겨 “’근본은 깊게, 외연은 넓게’가 정체성 논쟁의 해법”이라며 “사회경제 이슈 등 근본적 가치는 더 깊게 천착하고 외교안보 등은 중원으로 확장해 보수의 적대감을 완화해야 한다. 본질 유지로 집토끼가 움직이게 하고, 전략적 유연성으로 산토끼를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