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정책쇄신 더 강하게”…정국 전환 타개책 될까?

새누리 “정책쇄신 더 강하게”…정국 전환 타개책 될까?

입력 2012-07-16 00:00
수정 2012-07-16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누리당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이 15일 정책 쇄신의 첫 작품으로 재벌 개혁안을 꺼내들었다. 경제민주화로 상징되는 정책 쇄신이 정두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부결로 꼬여 버린 정국을 되돌릴 타개책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부결 사태 직후 사퇴를 선언한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의 복귀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는 곧 강도 높은 쇄신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16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이 원내대표가 당초 예정대로 원내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원내대표가 복귀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입장을 표명하지는 않았으나 사실상 복귀로 읽히는 행보다.

이를 위해 황우여 대표가 주말 동안 이 원내대표와 수차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며 설득 작업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황 대표는 이 원내대표에게 “이번 사태에 대해 당 대표인 내가 책임지겠다고 했고 대국민 사과까지 하지 않았느냐.”면서 ‘선당후사’의 자세를 보여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 13일 ‘책임지는 자세’를 강조하며 원내대표단 복귀에 힘을 실어줬다. 이 때문에 “무조건 사퇴한다.”는 초강경 입장을 고수하던 이 원내대표의 심경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내대표의 복귀를 계기로 새누리당은 쇄신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국회의원 특권 포기는 물론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정 의원에 대한 가시적인 조치, 이명박 정부와의 선 긋기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16일 열리는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철저한 검증 작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인사청문 절차가 끝난 대법관 후보자 4명 중 위장 전입과 취득세 탈루 등으로 문제가 된 김병화 후보자에 대한 낙마설도 제기되고 있다. 본회의 표결 결과가 주목된다.

여기에 정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 협조, 나아가 탈당 압박도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다. 다만 이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정 의원을 겨냥해 “탈당하고 구속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요구한 만큼 이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증폭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책 쇄신 작업에도 가속도가 붙게 될 전망이다. 당의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은 이날 재벌 개혁안을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을 차례로 발의할 계획이다. 당내 경제통인 이종훈 의원을 중심으로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고 박 전 위원장이 지난 10일 대선 출마 선언 때 밝힌 ‘신규 순환출자 규제’와 관련된 법안도 내놓을 예정이다.

이 원내대표는 박 전 위원장의 대선 가도에 힘을 실어주는 차원에서 쇄신 법안 처리를 적극적으로 주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 원내대표가 부결 사태로 촉발된 ‘위기의 7월’을 무사히 넘길 경우 이번 임시국회가 끝나는 다음 달 3일까지만 활동하는 ‘한시적 복귀’가 아니라 잔여 임기를 마치기 위한 ‘전면적 복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사퇴 번복’과 ‘박근혜 사당화’ 논란 등은 이 원내대표가 풀어야 할 과제가 될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이 원내대표가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강도 높은 쇄신 드라이브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것”이라면서 “대대적인 쇄신을 통해 위기 국면을 타개하겠다는 구상”이라고 말했다.

장세훈·황비웅기자 shjang@seoul.co.kr

2012-07-1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