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충돌서 얻은 지혜들

문명충돌서 얻은 지혜들

입력 2012-03-10 00:00
수정 2012-03-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충돌, 그리고…】 서이자 지음/채륜 펴냄

사람과 사람의 만남, 혹은 문화와 문화의 접촉에서는 늘상 충돌이 있기 마련이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 충돌에서 밀려난 패자의 문화는 감춰지고 축소되기 일쑤다. 하지만 역사를 들춰 보면 주변과 약자의 문화며 이데올로기가 중심축과 지배층을 뒤흔들고 점령한 경우가 적지 않다.

‘문화충돌, 그리고 너그러움의 진화’(서이자 지음, 채륜 펴냄)는 바로 역사에서 거듭된 문화충돌을 통해 인류가 건져낸 지혜와 상호이해의 노력들을 추적한 책. 바로크 궁정문화에서 디즈니까지, 인류 역사 중 가장 커다란 문화충돌로 기억되는 일곱가지 사례를 조목조목 훑어낸 추적이 흥미롭다.

책은 특히, 유명하지만 일반인들이 간과하기 쉬운 주변부의 중심축에 대한 문제제기와 저항의 흐름을 들춰내 눈길을 끈다.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시기의 문화충돌, 19세기 산업화의 큰 흐름에서 생겨난 파리 노동자 문화, 그리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록 음악과 애니메이션이 큰 축. 그 축 아래 궁정귀족과 부르주아의 성 문화 충돌이며, 나폴레옹에 맞선 스페인 화가 고야의 고민과 고발, 파리에서 카페와 신문을 통해 형성된 노동자 문화의 시민세력화, 그리고 록에서 힙합까지를 아우르는 저항음악에 담긴 충돌과 갈등의 속내가 속속들이 풀어진다.

프랑스혁명 당시 단두대에서 처형된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이야기가 대표적인 예. 타락한 구체제의 상징이었던 그녀를 주제로 한 포르노그라피 판화가 결국 절대주의 왕가의 신성성과 정통성을 무너뜨렸다는 설은 유명하다. 하지만 저자는 마리 앙투아네트가 처형된 더 큰 이유를 그녀가 ‘공적 영역’에 존재하는 여성의 상징이었다는 데서 찾는다. 책에서 거듭 강조되는 메시지는 바로 문화충돌의 현명한 흡수다. 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그 폭력과 상처에 대한 반성의 시간을 갖고 좀 더 나은 미래를 꿈꾸게 된다는 것. 저자는 그것을 ‘너그러움의 진화’라 부른다. 1만 38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3-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