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DB
“한숨 쉬면 안 돼, 복 나가” “수명 짧아져”
힘들거나 짜증 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잔소리를 듣고 한숨을 참아본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보통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한숨이 폐 건강과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올라온 연구에 따르면 깊은 호흡, 특히 길게 내쉬는 날숨이 폐의 표면 장력을 낮추고 호흡 기능을 유지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많은 사람이 한숨을 쉰 후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한 시원함을 느끼는데, 이는 정신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는다. 연구진은 깊은 날숨이 일반적인 얕은 호흡보다 폐가 쪼그라들거나 달라붙으려는 힘을 크게 줄여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숨을 쉬는 것은 폐가 크게 팽창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폐를 덮고 있는 소량의 액체, 즉 계면활성제를 최적의 상태로 재배치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계면활성제는 폐 조직의 마찰을 줄이고 촉촉함을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깊은 날숨을 동반하는 한숨은 폐를 크게 팽창시켜 찌그러진 폐포(폐에 있는 작은 공기주머니)들을 재설정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얕은 호흡은 나이가 들면서 폐 탄력성 변화와 함께 호흡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데, 한숨은 폐의 탄력성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긴 날숨을 의도적으로 반복하는 ‘주기적 한숨’(Cyclic Sighing)이라는 호흡법은 검증된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 도구로 주목받았다. 해당 호흡법을 매일 5분씩 수행했을 때 기분 개선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한다.
다만 한숨이 두려움, 불안, 슬픔 등 부정적인 감정과도 연관된다는 2022년 연구 결과도 있다. 깊은 날숨이 일시적인 안도감을 줄 수는 있지만, 지나치게 잦은 한숨은 불안이나 만성적인 스트레스의 징후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건강한 호흡과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 깊은 들숨과 날숨을 의식적으로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