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넘나드는 수집가들의 보물
정선·김환기 등 330점 美서 첫선예술의전당, 세잔·르누아르 조망
국중박, 인상주의 중심 작품 전시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미국 워싱턴DC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 국외순회전에서는 김인승의 ’붉은 원피스의 여인’(사진), 김환기의 ‘산울림’ 등을 선보이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지라도 이는 인류 문화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써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합니다.”(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한 수집가의 열정과 기증을 통해 완성된 전시들이 국경을 넘어 열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국내에서 262만명이 감상한 ‘이건희 컬렉션’이 미국에서 첫선을 보이고 프랑스의 폴 기욤과 미국의 로버트 리먼 컬렉션은 한국을 찾았다.
지난 15일 미국 워싱턴 DC 스미스소니언 산하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 국외순회전 ‘한국의 보물: 모으고, 아끼고, 나누다’가 개막한 가운데 그가 평생에 걸쳐 모았던 보물들이 해외 관람객의 시선을 붙들고 있다.
지난 2021년 이건희 컬렉션으로 명명된 2만 3000여점의 미술품 기증은 국내 전례가 없는 최대 규모로, 한국의 고미술은 물론 현대 미술의 지평을 넓히는 전환점이 됐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이 미국의 박물관들과 함께 주최하는 이번 전시에는 국보인 정선 ‘인왕제색도’부터 김홍도 ‘추성부도’, 김환기 ‘산울림’, 박수근 ‘농악’까지 330점을 선보인다. 워싱턴 DC 전시는 내년 2월 1일까지 진행되며 이후 시카고박물관, 영국박물관으로 이어진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미국 워싱턴DC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 국외순회전에서는 김인승의 ’붉은 원피스의 여인’, 김환기의 ‘산울림’(사진) 등을 선보이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선보이는 ‘오랑주리-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세잔, 르누아르’ 전시도 한 수집가의 열정에서 비롯됐다. 프랑스 미술상이자 예술후원자였던 폴 기욤은 시대와 장르를 아우르며 방대한 컬렉션을 형성했다.
예술의전당 제공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날 수 있는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피아노를 치는 두 소녀’.
예술의전당 제공
예술의전당 제공
그의 아파트에는 폴 세잔과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작품이 앙리 마티스,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과 함께 전시됐다. 그가 세상을 떠난 이후 아내였던 도메니카 발테르가 컬렉션을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이는 오랑주리 미술관의 ‘발테르-기욤 컬렉션’으로 계승되어 오늘날 세잔과 르누아르라는 두 거장의 예술 세계를 조망하는 중요한 기반이 됐다. 이 전시에서는 세잔의 ‘세잔 부인의 초상’, 르누아르의 ‘피아노를 치는 두 소녀’ 등을 만날 수 있다. 전시는 내년 1월 25일까지.
예술의전당 제공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날 수 있는 폴 세잔의 ‘세잔 부인의 초상’.
예술의전당 제공
예술의전당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의 특별전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 역시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메트)의 로버트 리먼 컬렉션을 중심으로 꾸려진 전시다.
로버트 리먼은 리먼 브러더스로 친숙한 미국 투자 은행을 대대로 경영했던 가문의 일원으로, 1970년 2600여점에 달하는 컬렉션을 메트에 기증했다. 리먼의 방대한 수집품은 당시 개관 100주년을 맞은 메트를 독보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리먼은 특히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로 이어지는 프랑스 회화, 즉 인상주의와 그 이후의 미술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작품을 모았다. 이번 전시는 인상주의의 예술적 본질과 리먼의 수집 철학을 함께 조명한다. 전시는 내년 3월 15일까지.
2025-11-25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