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 분쟁으로 촉발된 한·중·일 3개국 갈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중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가 한국사를 제대로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역사 기술은 중국과 일본의 학생들에게 자칫 왜곡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김지훈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는 중국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세계역사 부분에서 한국사를 서술하지 않고 있다면서 “21세기 들어 한중관계는 여러 면에서 크게 발전했지만 중국 교과서에서 한국의 역사 소개는 후퇴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주요 현안 분석자료인 ‘동북아역사문제’에 기고한 ‘중국의 중학교 역사과정표준 개정과 한국사 서술’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중국은 ‘역사교학대강’에 따라 한 종류의 역사교과서를 편찬했으나 2001년 중학교 ‘역사과정표준’이 제정되면서 복수 교과서 체제로 전환됐다.
김 교수는 “원래 ‘역사교학대강’에 따라 서술된 교과서는 중학교 ‘세계역사’ 상권에서 한국사를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까지 역사를 다뤘으며, 중학교 ‘중국 역사’에서도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을 다뤘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2001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한 ‘역사표준과정’ 교과서는 분량이 줄어들면서 중국 역사에서 한국사 관련 서술이 축소돼 일부 교과서에서는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을 서술하지 않기 시작했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김 교수는 특히 “중국의 중학교 세계역사에서 일본의 역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지만 한국사에 대한 서술은 삭제됐다”면서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50여 년 동안 서술되었던 이웃 국가의 역사가 삭제된 것으로 양국 간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할 때 부적절한 서술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해 개정돼 반포된 중학교 ‘역사과정표준’ 역시 세계사에서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앞으로 수정돼 발행될 중국의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전통 시대 한국사 관련 내용은 수록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국의 교과서 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일본군 위안부의 동원 주체를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현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올 3월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가 일본군 위안부의 동원 주체와 책임 문제를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서 연구위원은 “위안부 관련 서술은 크게 줄지는 않았지만 위안부 제도 창설 주체로서 일본군과 동원의 강제성에 대한 서술이 약화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 연구위원에 따르면 3월27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일본사와 세계사) 19종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가 기술된 교과서는 모두 11종(58%).
11종 가운데 9종은 현행 교과서와 내용이 동일했으며 1종(제국서원 세계사B)은 기술을 추가했고, 나머지 1종(실교출판 세계사B)은 기술 내용이 현행 교과서보다 후퇴했다.
실교출판 세계사B는 ‘위안부로 전장에 내보낸 사람도 적지 않았다’에서 ‘위안부로 전장에 내보낸 사람도 있었다’로 내용을 바꿨다.
또 위안부 내용을 추가한 제국서원 세계사B도 “국가 간의 배상과는 별도로 일본에 의한 징병, 노동력 징발 등의 피해자가 보상을 요구해 1990년대에는 재판이 제기됐다. 이른바 종군위안부 문제도 그 하나이다”라는 주를 신설했지만 이것만으로는 위안부의 실체를 이해하기 어렵다.
서 연구위원은 “내용을 살펴보면 대체로 위안부로 동원했다는 기술이 기조를 이루고 있으며 위안소 설립과 운영, 위안부 동원의 주체(일본 정부 및 군의 관여 문제와 책임 문제)가 명확하게 서술돼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이러한 역사 기술은 중국과 일본의 학생들에게 자칫 왜곡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김지훈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는 중국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세계역사 부분에서 한국사를 서술하지 않고 있다면서 “21세기 들어 한중관계는 여러 면에서 크게 발전했지만 중국 교과서에서 한국의 역사 소개는 후퇴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주요 현안 분석자료인 ‘동북아역사문제’에 기고한 ‘중국의 중학교 역사과정표준 개정과 한국사 서술’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중국은 ‘역사교학대강’에 따라 한 종류의 역사교과서를 편찬했으나 2001년 중학교 ‘역사과정표준’이 제정되면서 복수 교과서 체제로 전환됐다.
김 교수는 “원래 ‘역사교학대강’에 따라 서술된 교과서는 중학교 ‘세계역사’ 상권에서 한국사를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까지 역사를 다뤘으며, 중학교 ‘중국 역사’에서도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을 다뤘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2001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한 ‘역사표준과정’ 교과서는 분량이 줄어들면서 중국 역사에서 한국사 관련 서술이 축소돼 일부 교과서에서는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을 서술하지 않기 시작했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김 교수는 특히 “중국의 중학교 세계역사에서 일본의 역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지만 한국사에 대한 서술은 삭제됐다”면서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50여 년 동안 서술되었던 이웃 국가의 역사가 삭제된 것으로 양국 간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할 때 부적절한 서술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해 개정돼 반포된 중학교 ‘역사과정표준’ 역시 세계사에서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앞으로 수정돼 발행될 중국의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 전통 시대 한국사 관련 내용은 수록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국의 교과서 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일본군 위안부의 동원 주체를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현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올 3월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가 일본군 위안부의 동원 주체와 책임 문제를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서 연구위원은 “위안부 관련 서술은 크게 줄지는 않았지만 위안부 제도 창설 주체로서 일본군과 동원의 강제성에 대한 서술이 약화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 연구위원에 따르면 3월27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일본사와 세계사) 19종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가 기술된 교과서는 모두 11종(58%).
11종 가운데 9종은 현행 교과서와 내용이 동일했으며 1종(제국서원 세계사B)은 기술을 추가했고, 나머지 1종(실교출판 세계사B)은 기술 내용이 현행 교과서보다 후퇴했다.
실교출판 세계사B는 ‘위안부로 전장에 내보낸 사람도 적지 않았다’에서 ‘위안부로 전장에 내보낸 사람도 있었다’로 내용을 바꿨다.
또 위안부 내용을 추가한 제국서원 세계사B도 “국가 간의 배상과는 별도로 일본에 의한 징병, 노동력 징발 등의 피해자가 보상을 요구해 1990년대에는 재판이 제기됐다. 이른바 종군위안부 문제도 그 하나이다”라는 주를 신설했지만 이것만으로는 위안부의 실체를 이해하기 어렵다.
서 연구위원은 “내용을 살펴보면 대체로 위안부로 동원했다는 기술이 기조를 이루고 있으며 위안소 설립과 운영, 위안부 동원의 주체(일본 정부 및 군의 관여 문제와 책임 문제)가 명확하게 서술돼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