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많이 움직일수록 치매 위험↓

몸 많이 움직일수록 치매 위험↓

입력 2012-04-19 00:00
수정 2012-04-19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일 몸을 많이 움직이는 노인일 수록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위험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러시 대학 메디컬센터 신경과전문의 아론 부크먼(Aron Buchman) 박사는 운동은 물론이고 음식 만들기, 설거지, 청소, 카드게임 등 몸을 움직여서 하는 일이 많을 수록 치매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힌 것으로 과학뉴스 포털 피조그 닷컴(Physorg.com)과 헬스데이 뉴스가 18일 보도했다.

부크먼 박사는 치매증세가 없는 노인 716명(평균연령 82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을 측정하는 액티그라프(actigraph)를 비우세손(non-dominant hand)의 손목에 10일 동안 계속 착용하게 해 운동 또는 운동이 아닌 형태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했다.

이와 함께 기억력과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해 인지기능 테스트를 매년 실시하면서 3.5년에 걸쳐 치매 발생 여부를 추적조사했다. 그 동안 71명이 치매가 발생했다.

분석결과는 하루 신체활동량 하위 10% 그룹이 상위 10% 그룹에 비해 치매위험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의 강도를 기준으로 했을 땐 하위 10% 그룹이 상위 10% 그룹에 비해 치매 위험이 2.8배 높았다.

이 결과는 힘이 달려서 운동은 못 하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어떤 형태로든 몸을 움직이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부크먼 박사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호(4월18일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