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폰 빼고 공부하라는 핀잔을 들으면 “팝송으로 영어 공부 중”이라고 둘러대곤 했었다. 요즘 아이들은 가요를 들으면서 영어 공부를 한다고 말할 수 있게 됐다. 가요가 K팝이 된 뒤부터 영어 가사가 참 많아졌다.
90년대 J팝 전성기 때도 영어가 넘쳐났다. ‘엔드리스 러브’나 ‘캔 유 셀리브레이트’ 같은 노래 제목이 흔했다. 일본어 억양이 섞인 영어 가사를 자연스레 따라 불렀다. 당시엔 불어 가사도 드물지 않았다. 밴드 라르크 앙 시엘의 ‘C’est la vie’라는 곡 덕분에 프랑스에선 일이 뜻대로 안 될 때 ‘오, 세라비’라며 다독인다는 걸 알게 됐는데, 정작 입에는 일본식 발음인 ‘우, 썰라비’가 붙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골든’ 커버가 유행이다. 부르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한국 억양에 맞춰진 영어 가사를 오래 기억하게 될 것이다.
전 세계가 K팝을 듣는 지금, 그보다 앞섰던 J팝이나 라틴 열풍 때 음악들이 더 자유로웠던 걸 떠올리게 된다. 어느 날 갑자기 바깥에서 손을 내민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우리가 먼저 그들이 납득할 언어로 문을 두드렸던 것이다.
홍희경 논설위원
2025-09-23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