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경
홍희경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홍희경 기자입니다.
최신 뉴스
  • 광복절 경축사와 ‘삼체문제’

    광복절 경축사와 ‘삼체문제’

    미국 대통령의 신년 연두교서는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정치 연설이다. 2차 대전 참전의 논리를 설득한 루스벨트의 ‘네 가지 자유’(1941), 국가의 빈곤 퇴치 의지를 강조한 존슨의 ‘위대한 사회’(1965),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한 부시의 ‘악의 축’(2002)까지. 명징하게 방향을 제시하고 역사를 바꿨던 연설
  • 로컬의 맛

    로컬의 맛

    농가 민박에서 며칠을 보냈다. 깔끔한 신축 시설과 수영장이 눈길을 끌어 선택한 곳이었는데 정작 가장 큰 선물은 뜻밖의 곳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바비큐를 준비하는데 민박집 사장님이 오시더니 뒤뜰 텃밭으로 이끈다. “여기서 고추랑 상추, 깻잎 따다 드세요.” 막 물을 줘서 흙냄새가 더 짙어진 텃밭이 주는 따뜻한 환대
  • 감사원 정책감사

    감사원 정책감사

    감사원이 정책감사를 폐지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일하는 공직자의 의욕이 꺾이지 않도록 하라”며 정책감사 자제를 거듭 주문한 가운데 나온 조치다. 공무원들이 적극행정을 펼칠 수 있도록 숨통을 틔워 주겠다는 취지다.정책감사가 되레 공무원들의 복지부동을 유도한다는 지적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전
  • 연어와 바나나

    연어와 바나나

    한때 연어 무한리필 식당이 유행처럼 번졌다. 비싼 연어를 무제한으로 주면 뭐가 남나 싶었는데 북해 너머 속사정이 있었다. 2014년 크림반도를 침공해 서방의 제재를 받은 러시아가 보복으로 노르웨이산 연어를 거부했다. 그 여파로 한국이 오메가3 세례를 받았다.바나나도 그랬다.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으로 중국이 200
  • 불의 고리

    불의 고리

    러시아 캄차카반도 근처에서 그제 새벽 규모 8.8의 초대형 지진이 발생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가장 강력한 지진이며 20세기 이후 여섯 번째로 큰 지진으로 여파가 태평양 전역에 미쳤다. 일본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 하와이, 괌, 필리핀, 태평양 건너 미국 서안까지 쓰나미에 대비했다.일본과 러시아를 잇
  • 일제 이름 벗겨내고, 100년 만의 귀환… 국력이 된 ‘한반도 식물’

    일제 이름 벗겨내고, 100년 만의 귀환… 국력이 된 ‘한반도 식물’

    광복 80년 우리말 이름 정체성 회복만리화·회양목·북한 지역 품종 등하버드대 소장하던 15종 돌아와기후변화로 식물들 서식지 급변연구 협력은 인류 생존 필수 조건한반도 온대·아한대·난대 공존기후변화 연구의 천연 실험실“글로벌 생물다양성 보전 허브로”#1. 창씨개명 학자의 우리 이름 되찾다2005년 조류인플루엔자 공
  • 관세 15% ‘앵커링 효과’

    관세 15% ‘앵커링 효과’

    자유무역협정(FTA)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는 사실상 사라진 세금이 됐다. 194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출범 당시 22%이던 평균 관세율은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1999년 5% 수준이 됐다. 최근 FTA 체결국 간 관세는 1% 내외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 국제법과 ‘기후 위기’

    국제법과 ‘기후 위기’

    국제사법재판소(ICJ)가 그제 “기후변화 무대응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선언했다. 각국엔 지구온난화 방지 의무가 있으며 위반할 경우 배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고적 의견이므로 부유한 나라들이 기후변화로 고통받는 국가를 돕도록 강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ICJ의 이번 결정은 각국 법원의 기후 소송에서 국제법적인 정당
  • 온누리상품권

    온누리상품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쓰기 전까지 집 근처 전통시장 가게들에 상호가 있는 줄 몰랐다. 채소가게 ‘늘푸른’에서, 반찬가게 ‘웰빙식품’에서 결제됐다는 알림을 보며 어떤 마음으로 가게를 열었을지 짐작해 본다.상품권을 쓰면 바로 상점 계좌로 입금되니 조금 사고 카드 쓰기 미안하던 마음이 덜어진다. 결제 승인되는 몇 초
  • 막 내리는 ‘단통법’

    막 내리는 ‘단통법’

    2014년 휴대전화 시장은 시끄러웠다. 갤럭시S 3가 출시 석 달 만에 96만원에서 17만원까지 폭락했고 ‘번개 세일’로 ‘공짜 아이폰’도 등장했다. 정보에 밝은 청년층은 싸게 샀고 고령층은 정가대로 샀다. 자녀가 부모의 휴대전화를 얼마나 싸게 개통해 줬는지가 ‘효도의 척도’가 됐을 정도. 정보 격차로 ‘호갱’이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