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이 ‘싸웠다’?…유튜브 삼오사 ‘일제강점기’ 왜곡 논란에 제작진 사과

韓·日이 ‘싸웠다’?…유튜브 삼오사 ‘일제강점기’ 왜곡 논란에 제작진 사과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5-11-26 08:45
수정 2025-11-26 08: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 화면 캡처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 화면 캡처


유튜브 채널 ‘354삼오사’가 한일 역사를 두고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했다는 논란이 일자 결국 사과했다.

26일 유튜브 채널 ‘354삼오사’ 측이 역사 왜곡 논란이 불거진 콘텐츠와 관련한 사과문을 게재했다.

지난 25일 공개된 영상에는 일본인 아내와 결혼한 배우 송진우가 출연해 혼혈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걱정을 이야기했다.

일본인 아내를 둔 배우 송진우가 “옛날에 한국과 일본이 둘이 싸웠어”라고 언급한 장면이 문제의 발단이었다.

이어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가 아들에게 “양쪽 얘기를 들어보라”고 말한다는 발언까지 더해지며 ‘식민지 역사에 양비론을 끼얹었다’는 비판이 나왔다. 일본의 침략 역사를 마치 양측 분쟁인 것처럼 묘사했다는 지적이다.

논란이 커지자 제작진은 해당 콘텐츠를 비공개 처리한 뒤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는 표현은 일본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했다.

이어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봐야 한다’는 말 또한 역사를 양비론적으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었다”며 “저희의 잘못된 편집으로 그 본래의 취지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일에 저희 제작진은 깊은 책임감과 함께 반성하고 사과드린다”며 “앞으로는 더 신중하게 편집하고 검수하겠다”고 했다.

송진우도 이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많은 분께 상처와 실망하게 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사과했다.

그는 “다문화 가정 아이들 사이에서 부모의 국적 때문에 생긴 혐오감이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변 이야기를 들었다”며 “아이에게 ‘역사적 사실은 정확히 알고 이해하되, 어떤 상황에서도 폭력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고 싶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그래선 정말 안 됐지만 아이의 시선에 맞춰 설명하겠다는 의지가 앞서 ‘싸웠다’라는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게 됐다”며 “제 표현이 더욱 신중하고 정확했어야 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변명도 없이 제가 잘못한 부분”이라고 사과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