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사율 높은 빙판길 차량 사고…“안전거리 평소의 2배 이상 필요”

치사율 높은 빙판길 차량 사고…“안전거리 평소의 2배 이상 필요”

이주원 기자
입력 2025-11-28 00:46
수정 2025-11-28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로 결빙 사고 3년간 47명 숨져
시속 30㎞ 때 제동거리 7배 증가
연쇄 추돌 발생해 피해 규모 커져

이미지 확대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도로 곳곳에서 빙판길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빙판길 사고는 자칫 연쇄 추돌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27일 범정부 교통안전 캠페인 ‘오늘도 무사고’ 일환으로 동절기 ‘도로 살얼음 주의’ 안전 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도로가 결빙일 때 일어난 빙판길 사고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총 2381건 발생했다. 사망자 수는 47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사망자 7807명의 0.6% 수준이지만, 한 번 사고가 나면 연쇄 추돌로 이어질 때가 많아 통계에 담기지 않는 실제 피해 규모는 더 크다는 게 공단의 설명이다.

최근 3년간 노면 상태별 교통사고 치사율을 보면 서리·결빙일 때 치사율(100건당 사망자 수)이 1.97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젖음·습기(1.90명), 건조(1.27명) 순이었다.

빙판길 사고가 위험한 이유는 무엇보다 차량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교통안전공단이 2021년 승용차가 시속 30㎞로 주행하는 조건에서 빙판길과 마른 노면의 제동 거리를 비교한 결과, 빙판길의 제동거리는 10.7m로 마른 노면 1.5m보다 약 7배 길었다. 제동 거리는 차체 중량이 큰 차종일수록 길어졌다. 화물차는 12.4m, 버스는 17.5m로 마른 노면일 때보다 각각 4.6배, 4.9배씩 증가했다. 시속 60㎞로 속력을 두 배 높이면 승용차는 4.7배, 화물차는 6.3배, 버스는 6.8배로 늘어났다. 낮에 도로가 녹았다고 방심하는 것도 대형 사고를 부른다. 차량 통행이 잦고 고속으로 주행하는 주간일 때 치사율은 2.27명으로 야간 치사율 1.43명보다 약 1.59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빙판길 사고를 예방하려면 운행 전 기상예보와 교통정보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교량 위나 터널 출·입구, 산모퉁이 등 도로에 살얼음이 자주 생기는 지점을 운행할 때 특히 유의해야 한다. 빙판길에서는 평소보다 약 2배 이상 넉넉하게 안전거리를 유지해 제동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노면이 습하거나 결빙이 예상되는 구간에서는 속도를 충분히 낮추고, 차량이 회전하지 않도록 급제동이나 핸들을 급하게 꺾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 차량이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차체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 자세를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이 미끄러질 때 운전자가 반대로 꺾어버리면 회전력이 더 커져 스핀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2025-11-2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