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주민, 개성공단처럼 금강산 문제도 풀리길

고성주민, 개성공단처럼 금강산 문제도 풀리길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성공단 회담이 14일 타결된 것과 관련, 강원 고성지역 주민들은 금강산 문제도 풀렸으면 좋겠다는 반응이다.

고성지역 주민들은 남북이 불가능할 것 같은 개성공단 문제를 잘 풀어간 만큼 금강산 문제도 협의를 통해 해결해 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이영일 고성군번영회장은 “방송을 통해 개성공단 합의소식을 전해들었다”며 “이를 계기로 금강산 관광, 이산가족 상봉 문제도 술술 풀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동해안 최북단 명파리 마을에서 건어물상을 운영하는 박운자(55·여)씨는 “그동안 금강산 관광 재개가 거론될 때마다 많은 기대를 했었는데 돌아오는 것은 실망 뿐이었다”며 “관광 중단으로 지역주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이 기회에 금강산 관광도 재개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명파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황필녀(56·여)씨는 “금강산 관광만 재개되면 더 바랄 것이 없다”며 “개성공단처럼 남북이 해법을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특히 지난 3일 정몽헌 전 회장의 10주기 추모식을 위해 금강산을 다녀온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구두 친서를 받아온 것에 대해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하며 관광 재개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개성공단과는 전혀 다른 원인으로 중단된 금강산 관광이 주민들의 바람대로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금강산 관광은 지난 2008년 7월11일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으로 중단됐다.

이후 북한은 남측 자산에 대한 몰수·동결,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 제정, 현대아산 독점권 취소, 재산권 법적 처분 및 남측 관계자 추방 등의 일방적인 조치를 취했다.

또 남측 자산을 활용해 중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영업을 하는 등의 조치도 취하고 있다.

한편 관광 중단 이후 고성군에서는 관련 업종 폐업과 휴업 등으로 1천600억∼1천800억원 정도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