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례 회담 끝에 개성공단 사태 133일 만에 해결

7차례 회담 끝에 개성공단 사태 133일 만에 해결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차회담 결렬, 北대표 기자실 난입 등 우여곡절 거듭

개성공단 사태가 발생 133일 만에 14일 극적으로 해결의 길을 찾게됐다.

개성공단의 위기는 북한이 한미군사훈련 등을 문제 삼아 4월 3일 일방적으로 우리측 근로자의 입경(남→북)을 차단하면서 시작했다.

닷새 뒤인 8일 북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은 개성공단을 찾아 공단의 가동 중단과 북측 근로자 철수를 선언했고, 9일부터 개성공단은 가동을 완전히 멈췄다.

공단에 남은 입주기업 관계자 등 우리측 인원들은 식료품 반입이 끊긴 이후에도 3주 이상 버티다가 정부의 전원 귀환 결정에 따라 5월 3일 철수를 완료했다.

이후 한 달여 동안 남북은 치열한 장외 공방전만 벌였다.

6월 6일 북한이 포괄적 당국간 회담을 제의하고 우리측이 장관급 회담 개최를 역제안하면서 국면은 전환했다.

그러나 12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기로 했던 고위급 당국회담 개최가 수석대표 ‘격’ 문제로 막판 무산된 이후 다시 남북은 한 달여간의 냉각기를 맞았다.

장마철이 시작된 뒤에도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던 개성공단 사태는 7월 3일 북한이 개성공단 기업인과 관리위원회의 방북 허용 의사를 밝히고 우리 정부가 다음날 당국간 실무회담 개최를 제의하면서 다시 대화 국면으로 전환했다.

같은 달 6일 판문점에서 열린 첫 실무회담에서 개성공단 재가동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남북은 이후 같은 달 25일까지 6차례의 회담을 갖고 사태 해결 방안을 모색했지만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 와중에 3차회담을 하루 앞둔 12일에는 우리측 수석대표가 전격 교체되기도 했다.

개성공단 가동 중단 사태의 책임 소재와 재발방지안이 남북간 최대 쟁점이었다.

특히 지난달 25일 열린 6차회담에서는 남북간 의견 대립이 심화되면서 다음 회담 일정을 잡지 못하고 회담이 끝났다. 개성공단 사태 이후 최대 위기 순간이었다.

회담 결렬 후 북측 수석대표가 예고 없이 남측 기자단이 머물던 곳에 난입해 기자회견을 열고 ‘개성공단 군사지역화’ 등 으름장을 놓는 소동까지 있었다.

6차회담 결렬 후인 지난달 28일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회담을 마지막으로 제의하면서 재발방지에 대한 북측의 명확한 약속이 없을 경우 ‘중대 결단’을 내리겠다는 최후통첩성 경고를 보냈다.

그러나 북한은 한동안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미리 천명한 대로 우리 정부는 중대조치의 첫 단계로 간주될 수 있는 개성공단 기업에 대한 경협보험금 지급을 지난 7일 결정했다.

그러자 북한은 같은 날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특별담화를 통해 7차회담 개최를 제의하면서 재발방지책 등에 대한 다소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결국 개성공단 사태는 4개월이 넘는 이 같은 우여곡절과 밀고당기기 협상 끝에 14일 7차회담을 통해 5개항의 합의서를 채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