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연구진, 붐비는 지하철에서 ‘사회 실험’
“예상치 못한 상황, 사람들의 ‘친절’ 유도한다”
영화 ‘다크나이트’(2008) 속 배트맨(크리스천 베일). 이탈리아의 한 지하철에 임신부가 탑승했을 때, 여성의 옆에 아무도 없을 때보다 여성의 옆에 배트맨 분장을 한 남성이 탑승했을 때 승객들이 더 적극적으로 자리를 양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료 : 워너브러더스 코리아·이탈리아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팀
DC코믹스의 만화와 실사 영화를 통해 ‘슈퍼 히어로’의 대명사로 사랑받아온 배트맨은 검은색 망토를 두르고 범죄와 부패로 들끓는 고담시를 지킨다. 그런데 가상 세계 속 배트맨이 실제 일상생활 속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이 돌연 친절하게 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진은 이런 내용의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정신 건강 연구’에 발표하고 “예상치 못한 사건이 친사회적인 행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는 공공장소에서 친절을 장려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밀라노 시내 지하철에서 일종의 사회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임신부처럼 분장한 한 여성에게 지하철에 탑승하게 했는데, 여성은 한눈에 봐도 임신부인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배가 불러 있었다.
같은 시각 같은 열차의 다른 객차에서는 임신부로 분장한 여성이 탑승하는 동시에 약 3미터 떨어진 다른 문을 통해 배트맨 분장을 한 남성이 탑승했다. 남성은 승객들의 공포를 우려해 배트맨 마스크는 착용하지 않았지만, 검은색 망토와 울퉁불퉁한 상의, 검은색 바지 등으로 자신이 배트맨 분장을 했음을 각인시켰다.
연구진은 열차가 한 정거장을 이동하는 2~4분 동안 객차 내의 승객들이 여성에게 자리를 양보하는지 관찰해 집계했고, 여성에게 자리를 양보한 승객을 대상으로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어 열차에서 내린 뒤 다음 열차에 탑승하는 방식으로 총 138차례에 걸쳐 실험을 이어갔다.
실험 결과 여성이 혼자 열차에 탑승했을 때 자리에 앉아있던 승객이 여성에게 자리를 양보할 확률은 37.66%였다. 그러나 배트맨 분장을 한 남성이 탑승했을 때 이 확률은 67.21%로 증가했다. 연구진은 자리를 양보한 승객 3명 중 2명가량이 여성이었다고 덧붙였다.
얼핏 보면 이들 승객이 열차에 나타난 배트맨에 위압감을 느껴 자리를 양보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흥미로운 사실은 자리를 양보한 승객의 43.75%는 “배트맨을 보지 못했다”라고 답했다는 것이다.
지하철 임신부 배려석에 한 남성이 앉아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임신부 옆에 ‘배트맨’ 등장…자리 양보 확률↑연구진은 “지하철에 돌연 배트맨 분장을 한 사람이 등장하는 것과 같은 예기치 않은 사건이 실제 일상생활에서 친사회적인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라면서 이를 ‘배트맨 효과’라고 이름 붙였다.
공공장소에서 뜻밖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들은 주의를 환기하게 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해 적절한 행동을 취한다는 것이다.
배트맨은 범죄와 부패로부터 사회를 지키는 ‘정의’의 상징이다. 배트맨의 이 같은 캐릭터가 승객들의 친절한 행동을 장려했을 수 있지만, 연구진은 임신부로 분장한 여성에게 자리를 양보한 승객의 상당수가 “배트맨을 보지 못했다”라고 응답한 것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배트맨을 직접 보지 못했더라도, 배트맨을 본 열차 내의 다른 승객들의 반응 등의 신호가 퍼져나가 배트맨을 보지 못한 승객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그러면서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이 주위를 살피고 약자를 돕는 등의 친절한 행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긍정적인 혼란’을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