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한강버스

[씨줄날줄] 한강버스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5-09-19 00:26
수정 2025-09-19 0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선시대 한양에서 영남으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은 한강 뱃길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마포나 광진에서 배를 타면 양평·여주와 원주 흥원창을 거쳐 충주에 닿았다. 여기서 상주나 대구 방면으로 가는 사람은 배에서 내려 문경새재를 넘었다. 영주나 봉화, 안동으로 가는 사람은 단양까지 배를 타고 가서 죽령을 넘어갔다.

안동 출신 퇴계 이황이 단양 기생 두향과 인연을 남긴 것도 그만큼 단양을 자주 지나쳤기 때문이다. 한양 뱃길은 1973년 팔당댐 건설로 단절됐다. 1995년 충주댐이 건설되자 상류 단양과 아우라지로 가는 뱃길도 막혔다.

내륙 수운이 퇴화한 것은 세계적 현상이다. 갈수록 댐 건설 필요성이 높아지고 도로와 철도가 발달하면서 수운은 속도전에서 밀렸다. 장강(長江)이라 불리는 중국 양쯔강도 과거에는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다. 하지만 화물선은 여전히 분주히 오간다지만 여객선은 관광용 장거리 유람선이 대부분이다. 스위스에서 발원해 오스트리아와 독일을 지나 네덜란드에서 바다에 합류하는 라인강도 다르지 않다.

여전히 통학과 통근 같은 일상생활에 요긴하게 쓰이는 뱃길도 없지는 않다. 해안 도시와 같은 생활권을 이루는 섬을 연결하는 뱃길이 대부분이다. 미국 뉴욕의 스태튼 아일랜드 페리와 캐나다의 토론토 아일랜드 페리가 그렇다. 영국 런던 리버버스는 템스강을 따라 운항하는데 다른 교통수단보다 시간이 적게 걸린다고 한다.

‘서울시의 첫 수상 대중교통’이라는 한강버스가 어제 운항을 시작했다. 마곡에서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을 거쳐 잠실까지 28.9㎞를 오간다. 오전 11시 첫 출항이라니 출근용은 아니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이 걸린다니 퇴근길에도 타게 될지 모르겠다. 성격이 고민이었다면 ‘세계적 관광지로 거듭나는 한강을 즐기는 새로운 방법’이라고 했으면 틀린 말은 아니었을 것이다. 이제는 잊힌 한강 수운의 역사를 일부일망정 복원한다는 의미라도 부여했더라면 좋았겠다 싶다.
2025-09-19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