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사인 훔치기’ 뉴욕 메츠 감독까지 불똥 튀나

MLB ‘사인 훔치기’ 뉴욕 메츠 감독까지 불똥 튀나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0-01-16 23:26
수정 2020-01-17 0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7년 휴스턴 선수였던 벨트란 신임 감독도 경질 가능성

LA의회 “우승 뺏긴 다저스에 트로피를” 결의안 상정 예정
이미지 확대
카를로스 벨트란. AP 연합뉴스
카를로스 벨트란.
AP 연합뉴스
미국 메이저리그(MLB)에 사인 훔치기의 후폭풍이 확산되고 있다.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전자기기를 활용해 부적절한 사인 훔치기를 했던 2017년 휴스턴 소속 선수였던 카를로스 벨트란(43) 뉴욕 메츠 신임 감독의 경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스포츠매체 ESPN은 지난해 11월 벨트란을 감독으로 앉힌 메츠 구단이 현재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16일 보도했다. 벨트란 감독은 다음달 열리는 스프링캠프에서 정식으로 데뷔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14일 휴스턴의 제프 루노 단장과 A J 힌치 감독은 MLB 사무국의 징계를 받은 뒤 경질됐다. 사인 훔치기 당시 휴스턴의 벤치코치였다가 이듬해 보스턴 레드삭스 감독으로 영전한 뒤에도 비디오 판독실을 사인 훔치기 용도로 사용한 알렉스 코라 감독은 15일 보스턴과 결별했다. 상호 합의 형식이었지만 사실상 경질이다.

MLB 사무국은 사인 훔치기에 연루된 휴스턴의 단장, 감독, 코치만 징계했을 뿐 선수는 징계 대상에서 배제해 벨트란은 면죄부를 받았지만 승부 도박 혐의로 메이저리그에서 영구 제명된 ‘안타왕’ 피트 로즈가 선수들을 왜 징계하지 않느냐고 강하게 반발하며 여론몰이에 나섰다.

벨트란의 사인 훔치기 연루 여부를 모른 채 그를 감독으로 선임한 메츠는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 벨트란은 사인 훔치기 연루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MLB 사무국 보고서에 따르면 그는 상대 팀 사인을 간파해 타자들과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한 휴스턴 선수 중 한 명이다. ESPN은 그간 비판 여론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해 온 메츠가 전격적인 결단을 내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사인 훔치기 파문에 정치권도 가세했다. 미국의 유력 지역 일간지 LA타임스는 LA 시의회가 MLB 사무국에 2017년과 2018년 월드시리즈 우승 트로피를 LA다저스에 시상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다음주 안으로 의회에 상정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LA다저스는 2017년과 2018년 월드시리즈에서 사인 훔치기 파문에 휩싸인 휴스턴, 보스턴에 각각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길 세딜로 LA 시의원은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건 공정과 정의의 문제”라며 “2017년과 2018년 최고의 팀은 누구였나? 바로 다저스였다. 그들은 속임수를 쓴 팀에 당했다”고 주장했다. 야후 스포츠 등 미국 현지 언론들은 LA 시의회가 추진하는 결의안에 대해 정서적으로는 이해가 되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20-01-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