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지출액 33%… 1인당 940만원
비급여 피부·성형 시술 등 진료
‘중국인 환자가 건강보험 재정을 축낸다’는 ‘건보 먹튀’ 논란이 되풀이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인 환자들이 한국 의료관광 시장의 핵심 수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외국인환자 유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총 117만 467명, 의료관광 지출액은 7조 503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인 환자 26만명이 사용한 의료관광 지출액은 2조 4442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의료관광 수익의 33%를 차지했다. 단일 국가 기준으론 압도적 비중이다.
중국인 환자 1인당 평균 지출액은 약 940만원으로, 전체 외국인 환자 평균(641만원)을 크게 웃돌았다.
이들은 진료비 외에도 쇼핑, 숙박, 음식, 여행 등 부대 소비에 높은 지출을 보였다.
외국인 환자가 가장 많이 찾은 진료과목은 피부과(70만 5044명)와 성형외과(14만 1845명)로, 두 과목이 전체 외국인 진료의 68%를 차지했다.
또 의원급 의료기관 이용자가 95만 9827명(82%)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았다. 외국인 환자 대부분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 특히 피부·성형 시술을 이용해 건강보험 재정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서미화 의원은 “중국인 환자 다수는 건보 적용이 안 되는 의원급에서 진료받고 의료관광으로 상당한 경제적 기여를 하고 있다”며 “근거 없는 ‘혐중’ 프레임은 국가 이미지와 의료한류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2025-10-2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