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계절의 여왕이지만 문제는 자외선이다. 자외선이 다른 계절에 비해 강하기 때문이다. 햇볕 속 자외선은 중요한 생명의 조건이지만 지나친 게 문제다. 노화와 색소침착은 물론 피부암까지 유발하기 때문이다.
자외선이 원인인 광노화는 자연노화와 달리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섬유소가 급속히 파괴되면서 주름을 만들고, 표피를 가죽처럼 뻣뻣하게 한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자외선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이다. 이런 광노화를 예방하려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좋은 대책이다.
봄이면 야외활동이 잦아 자외선에 노출되는 부위와 시간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차단막이 형성되기까지 15~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외출 30분 전에 충분한 양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매 2~3시간마다 덧발라 줘야 한다. 자외선 차단제는 양도 중요하다. 얼굴에 바르는 적정량은 엄지손톱 크기, 온몸에 바를 때는 오백원짜리 동전 2배 정도의 양이 기준이다.
또 계절과 피부민감도에 맞춰 차단지수(SPF)를 결정하는 게 좋다. 무조건 지수가 높은 제품보다 상황에 따라 적정치를 골라 써야 한다. 평소라면 SPF 15~20 정도가 적당하지만 한여름이나 야외활동을 할 때는 30 이상이라야 효과적이다. 특히 자외선이 강한 오전 10시~오후 3시 사이에는 차단제만 맹신하기보다 가급적 외출을 피하되 불가피하다면 챙 넓은 모자와 긴소매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물론 흐린 날이라고 방심해서는 안 된다.
자외선 차단제는 바르는 것 못지않게 잘 씻어야 하며,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일상화해 스트레스를 쌓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관리하면 확실히 도움이 되지만 그래도 한번 생긴 주름은 회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름이 문제라면 전문의와 상담해 ‘이프라임’, ‘서마지CPT’, ‘울세라’ 등을 이용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상준 아름다운나라 피부과·성형외과 원장
자외선이 원인인 광노화는 자연노화와 달리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섬유소가 급속히 파괴되면서 주름을 만들고, 표피를 가죽처럼 뻣뻣하게 한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자외선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이다. 이런 광노화를 예방하려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좋은 대책이다.
봄이면 야외활동이 잦아 자외선에 노출되는 부위와 시간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차단막이 형성되기까지 15~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외출 30분 전에 충분한 양의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매 2~3시간마다 덧발라 줘야 한다. 자외선 차단제는 양도 중요하다. 얼굴에 바르는 적정량은 엄지손톱 크기, 온몸에 바를 때는 오백원짜리 동전 2배 정도의 양이 기준이다.
또 계절과 피부민감도에 맞춰 차단지수(SPF)를 결정하는 게 좋다. 무조건 지수가 높은 제품보다 상황에 따라 적정치를 골라 써야 한다. 평소라면 SPF 15~20 정도가 적당하지만 한여름이나 야외활동을 할 때는 30 이상이라야 효과적이다. 특히 자외선이 강한 오전 10시~오후 3시 사이에는 차단제만 맹신하기보다 가급적 외출을 피하되 불가피하다면 챙 넓은 모자와 긴소매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물론 흐린 날이라고 방심해서는 안 된다.
자외선 차단제는 바르는 것 못지않게 잘 씻어야 하며,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일상화해 스트레스를 쌓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관리하면 확실히 도움이 되지만 그래도 한번 생긴 주름은 회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름이 문제라면 전문의와 상담해 ‘이프라임’, ‘서마지CPT’, ‘울세라’ 등을 이용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상준 아름다운나라 피부과·성형외과 원장
2012-04-2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