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싱겁게 먹어야 ‘짭짤한 인생’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싱겁게 먹어야 ‘짭짤한 인생’

입력 2010-05-10 00:00
수정 2010-05-10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확실히 한국인은 짜게 먹습니다. 지리적으로 남방에서 해안 벨트를 타고 북쪽으로 이어지는 염장문화권에 속하다 보니 아무래도 젓갈류가 많고, 여기에다 식성도 탕류를 선호해 이래저래 섭취하는 염분의 양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염분 섭취량을 두고 의사들은 심각한 경고를 보내곤 합니다.

짠 식성 탓에 혈관에 문제가 생겨 고혈압 등 이런저런 순환기계 질환을 앓게 된다는 겁니다. 의사들은 우리 국민들이 먹는 염분을 지금의 4분의1, 5분의1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옳은 말입니다.

그러나 한번 시도해 보시면 입맛을 바꾸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게 될 겁니다. 혀가 얼마나 간사한지 음식을 조금만 싱겁게 조리하면 금세 알아채고는 집에서는 주부에게, 음식점에서는 종업원에게 투정을 쏟아냅니다. “이거 간이 영…” 하면서 말이지요. 의사들 지적처럼 염분 섭취량을 지금의 20∼30% 수준으로 낮추기는 어렵겠지만 염분 섭취 총량을 줄이는 방법은 많습니다. 국이나 탕을 먹을 때 국물을 남긴다든가, 젖갈류도 좀 덜 짜게 해서 먹으면 됩니다.

사실, 미식(美食)이라는 것은 대체로 싱거운 음식에서 시작된다니 값비싼 음식만을 식도락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 말고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을 조금만 덜 짜게 해 먹는 즐거움을 찾는 건 어떨까요. 꿩 먹고 알 먹는 일 아닐까요.

jeshim@seoul.co.kr

2010-05-1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