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에 앞서 선서하는 양오봉 전북대총장. 연합뉴스
22일 오전 전북대 진수당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북대 교수들의 음주운전과 채용 비리, 논문공장 이용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전북대’를 검색하면 교수 음주 운전에 관한 얘기가 대부분이다. 징계가 약해 다른 대학에 비해 음주 운전자가 많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전북대가 음주 운전 교수들에 대해 1~3개월 정직 정도 수준의 징계를 하고 있다. 이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다른 대학은 바로 해임인데 1개월 정도 정직으로 음주 운전 교수에게 면죄부를 주는 게 과연 한국 사회 현실에 맞는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고 질타했다.
같은 당 김영호 의원도 “전북대에 온정주의가 있는 것 같다”며 “음주 운전은 확실히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전북대 교수들의 논문공장 이용 실태를 지적했다. ‘논문공장’은 연구자들에게 돈을 받고 논문을 대량으로 만들어주는 곳을 일컫는다.
김 의원은 “논란이 된 논문 중 34%가 전북에 있는 대학이고, 전북대는 이 중 3건으로 확인됐다“며 ”전북대가 호남의 중심 대학인 만큼 전수 조사를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십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과 채용 비리 문제도 질타받았다.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전북대에서 32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면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전북대는 학사 시스템 구축 당시부터 보안에 취약했다”며 “개인정보 유출 문제는 워낙 심각한 사안인 만큼 피해자 구제 방안이나 사전 모니터링 강화 등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해달라”고 주문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전북대 미술학과 교수 채용 과정에서 심사항목이 기존과 다르게 변경됐는데 특정 지원자에게 유리하게 항목이 끼워 넣어진 정황이 있다”며 “심사위원과 지원자 간의 특수관계 의심도 제기됐다”고 말했다.
이에 양오봉 총장은 “먼저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한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다시 드린다”며 “논문공장 이용 문제는 전수조사를 실시해 엄중하게 처벌하고 철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