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아리 ‘뚝’ 소리·극심한 통증 땐 파열 의심
급성외상,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어
부기·통증 이어지면 병원 진료 필수

야외 러닝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9월, 야외 러닝을 즐기는 사람이 부쩍 늘고 있다. 러닝은 특별한 장비 없이도 쉽게 시작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도 운동 효과가 커 인기가 높다. 스포츠 업계는 국내 러닝 인구가 약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5㎞·10㎞·하프코스 마라톤 대회는 한 달 전이면 접수가 마감될 정도로 열기가 뜨겁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발과 발목 부상 위험을 경고한다.
이대목동병원 정형외과 이영 교수는 19일 “발목과 발은 달리기를 할 때 가장 다치기 쉬운 부위”라며 “발목 인대 손상, 골절, 종아리 근육·아킬레스 힘줄 파열 같은 급성 외상은 물론 아킬레스 건염·족저근막염 같은 만성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보행에 불편함이 생기면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히 진단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러닝 후 발목 통증이 생기면 가장 흔한 원인은 발목 인대 손상이다. 발이 안쪽으로 꺾이면서 외측 인대에 염좌가 생기는 것으로, 방치하면 20~30%가 만성 발목 불안정증으로 진행하고 심하면 발목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달리던 중 종아리에서 ‘뚝’ 하는 느낌이나 심한 통증이 나타나면 비복근 파열이나 아킬레스 힘줄 파열을 의심해야 한다. 비복근은 종아리 근육 중 가장 표면에 있는 근육으로 내측에서 주로 파열된다. 통증과 함께 멍이나 심한 부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아킬레스 힘줄이 끊어지면 뒤꿈치를 드는 동작이 어렵고, 경우에 따라 수술이 필요하다.
이 교수는 “통증이 생기면 즉시 아이스팩을 대고 다리를 올리는 것이 도움이 되지만, 부기와 통증이 지속되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며 “운동 전후 스트레칭으로 근육과 힘줄을 풀고, 본인 상태에 맞는 러닝화와 보호 장비를 착용하면 부상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