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대학교의 ‘보리생명미술관’이 지역 문화계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보리를 소재로 한 미술작품이 모인 ‘보리생명미술관’은 이 대학 석좌교수인 송계(松溪) 박영대(81) 화백이 2015년 작품 ‘생명의 씨앗’을 대학에 기증하면서 태동했다.
30일 백석대에 따르면 2016년에는 대학 내 초대전을 연 박 화백은 설립 40주년을 맞은 백석대에 축하의 마음을 담은 평생의작품 137점을 기증했고, 이듬해 보리생명미술관이 개관했다.
박 화백은 “당시 전시기간 동안 대학에 머무르는데 학생들이 밝게 인사하는 모습을 보고 ‘이 대학은 인성교육에 힘을 쏟고 있구나’ 생각하게 됐다”며 “보리의 강인한 생명력과 의지가 백석과 닮았다고 느껴 기증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첫 기증 후 매년 작품 2~30점씩 기증해 보리생명미술관을 다채롭게 채워갔고, 지금까지도 작품 활동을 이어가며 그의 창작 세계를 펼쳐가고 있다.
이미지 확대
박영대 화백이 ‘2023 현대미술한일국제교류전’에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백석대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영대 화백이 ‘2023 현대미술한일국제교류전’에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백석대 제공
세계적 보리작가로 알려진 박 화백은 1995년 일본 도쿄에서 시작된 ‘현대미술한일전’이 있게 한 주요 일원이다. 올해로 29회째를 맞은 ‘현대미술한일전’은 매년 양국의 역량 있는 화가 100여 명이 참여하는 역사가 깊은 전시회로 자리를 잡았다. 그는 팔십이 넘은 나이에도 매년 전시에 참여하며 한일 간 민간 홍보대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박 화백은 일본과의 오랜 교류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미 일본 도쿄 긴자 등에서 개인전을 진행하고 있다.
백석대에 작업실과 충북 청주시의 작업실을 오가며 작품 생활에 매진하고 있는 그는 “작가는 늘 창작을 해야 한다는 사명이 있고, 창작을 위해 늘 공부하고 노력해야 한다”며 “더 많은 작품으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 화백의 작품은 영국 런던의 대영박물관, 미국 뉴욕의 캐럴갤러리, 일본 도쿄의 도쿄갤러리, 서울 명동성당 등에 소장돼 있으며, 가장 많은 작품이 백석대 보리생명미술관에서 만날 수 있다.
천안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