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알레르기학회 “초미세먼지 2시간만 노출돼도 병원 방문 3.7% 늘어” 미세먼지 노출 뒤 기도 자극, 염증까지 진행되는데 사흘 소요
하루 환경 기준치를 초과한 미세먼지(PM10)가 발생하면 사흘 뒤 병원을 찾는 천식 환자가 평소보다 27%나 늘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입원해야 하는 중증 천식 환자도 3일 뒤 1.5배 늘어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6일 오전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서울 상공에 뿌연 미세먼지층이 형성된 모습. 2017. 10. 26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달 26일 오전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서울 상공에 뿌연 미세먼지층이 형성된 모습. 2017. 10. 26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7일 송대진 고대구로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기획위원)는 2014~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미세먼지가 기관지천식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파악됐다고 밝혔다.
미세먼지는 지름에 따라 1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인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 이하의 초미세먼지(PM2.5)로 분류된다. 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5분의 1 정도, 초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20~30분의 1 정도다.
송 교수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각각 일평균 허용농도 범위를 초과한 날 천식으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수를 집계해 분석했다.
그 결과 미세먼지가 기준을 초과한 날에는 천식으로 인한 병원 방문이 4.1% 증가했고, 초미세먼지의 경우에는 5.7% 늘어났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하루에 2시간만 기준을 초과해도 당일 환자 수는 각각 3.5%, 3.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송 교수는 “국내 천식 유병률이 5~10% 정도로 흔한 질병이라는 걸 고려하면 이 정도 증감률도 낮지 않은 수준”이라며 “초미세먼지의 경우 호흡기에서 걸러지지 않고 말단 기관지나 허파꽈리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더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일단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3일 뒤에 천식으로 인한 진료가 가장 많았다. 미세먼지가 기준치를 초과한 날을 기준으로 3일 후에는 환자 수가 평상시 대비 26.3% 증가했다. 또 입원이 필요할 정도로 천식이 악화한 환자는 같은 기간 49.4% 급증했다.
조상헌 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이사장)는 “미세먼지 노출 3일 후에 환자가 급증하는 건 기도를 자극하고 2차 염증 반응이 진행되기까지 3일쯤 걸리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천식의 발병과 악화에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초미세먼지도 노출 3일 뒤에 환자 수가 7.1% 늘었다. 입원 환자도 3일 뒤에 37.3% 증가하는 등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