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생이별한 모자 26년 만에 상봉

미국서 생이별한 모자 26년 만에 상봉

최훈진 기자
입력 2017-07-19 22:24
수정 2017-07-19 2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한미군父·한국인母’ 스미스, 어머니 향수병 귀국·연락 두절…서울글로벌센터 지원으로 재회

갓난아기 때 생이별한 어머니를 서울글로벌센터의 도움으로 26년 만에 찾게 된 미국 청년의 사연이 알려져 눈길을 끈다. 현재 미국의 한 비영리단체에서 근무 중인 브라이스 스미스(26)가 주인공이다.
이미지 확대
미국의 한 비영리단체 소속 브라이스 스미스(왼쪽)가 어머니와 지난 9일 재회한 뒤 여행하며 찍은 사진. 서울시 제공
미국의 한 비영리단체 소속 브라이스 스미스(왼쪽)가 어머니와 지난 9일 재회한 뒤 여행하며 찍은 사진.
서울시 제공
19일 서울시에 따르면 외국인종합지원시설인 서울글로벌센터 소속 영어 상담원 최윤선(25·여) 대리와 상담한 후 지난 9일 한국에 입국해 평생 생사조차 모르고 지낸 어머니와 재회한 스미스가 21일 센터를 방문해 감사의 뜻을 전하기로 했다. 그는 주한 미공군에 근무했던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가 1987년 결혼 후 미국으로 건너가 낳은 둘째 아들이다. 극심한 향수병에 시달렸던 스미스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3개월쯤 됐을 때 홀로 한국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스미스가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어머니를 찾아 나선 것은 2014년 바이러스성 질병에 감염됐다가 1년에 걸친 치료 끝에 건강을 회복하면서다. 그는 “어머니 없이 자란 경우 건강상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연구 결과를 들었다. 내 건강 문제도 어린 나이에 어머니의 존재조차 잘 알지 못하고 살아온 것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스미스가 자신의 어머니에 대해 아는 것은 이름 석 자와 생년월일뿐이었다. 대사관이나 한국 공군 유엔 등을 통해 백방으로 수소문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스미스는 “어머니를 포기해야 하나 싶었을 때쯤 센터에서 발 벗고 나서서 도움을 줬다”고 밝혔다.

최 대리는 스미스가 아버지의 동의를 받아 혼인관계수리증명서를 재발급받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주민등록번호를 알아낸 그는 26년 만에 어머니와 감격의 상봉을 한 후 부산, 제주 등 전국 각지를 여행할 수 있게 됐다. 최 대리는 “수개월간의 노력 끝에 수십년간 떨어져 지낸 가족을 만나게 해 줄 수 있어 너무 기쁘다”고 말했다.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동작4, 국민의힘)은 지난 18일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을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나경원 동작을 국회의원,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 등도 함께했다. 이 의원은 이날 정근식 교육감에게 흑석고 남측에 학생 보행로를 추가 조성해줄 것을 촉구했다. 당초 설계상 흑석고 남측 출입문은 차량 진출입 용도로만 계획됐다. 이에 흑석고로 자녀를 진학시킬 예정인 학부모들로부터 통학 편의를 위해 남측에도 보행로를 조성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제기된 바 있다. 이 의원은 또한 ▲개교와 동시에 수준 있는 교육이 이뤄지도록 경험이 풍부한 전문교사를 적극 배치할 것 ▲재학생 수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현재 4개 층인 교사동을 5개 층까지 증축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할 것 ▲안전한 급식실, 과학실 등을 조성해줄 것 ▲면학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내부 디자인을 채용할 것 ▲밝은 색상의 외장 벽돌을 사용해 밝은 학교 분위기를 조성할 것 등을 교육감에게 주문했다. 정근식 교육감은 흑석고 남측 보행로를 포함한 이 의원의 주문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현
thumbnail -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7-07-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