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디지털 문맹

[씨줄날줄] 디지털 문맹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5-08-19 23:58
수정 2025-08-20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교육부가 어제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성인이 디지털 도구를 잘 사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한 첫 조사다.

전국 18세 이상 약 1만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성인의 8.2%가 키오스크나 은행 앱 등 기본적인 디지털 기기 조작에 어려움을 겪었다. 17.7%는 기본 조작은 가능하지만 일상생활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전체의 25.9%, 즉 4명 중 1명이 은행 앱으로 송금하기, 지도 앱으로 길 찾기, 키오스크로 주문하기 같은 일상적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디지털 문맹’이라는 의미다.

조사에선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이 선명하게 부각됐다.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나 월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취약했다. 그리고 남성보다 여성, 서울·광역시 거주자보다 농산어촌 주민들의 디지털 취약계층 비율이 더 높게 집계됐다. 이는 디지털 기기를 접하는 사회활동을 얼마나 활발히 하는지, 즉 ‘빈도’의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문해력은 직접 쓰고 익숙해지면서 느는 ‘체험학습’의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문제 해결의 열쇠를 교육에서 찾았다. 찾아가는 디지털 문해교육 ‘한글햇살버스’ 확대,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민간기업 협업을 통한 현장 실습 등이다. 하지만 사실 디지털 기기 사용법은 실전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배우는 것이 자연스럽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조차 처음 보는 키오스크 화면에서는 버튼을 못 찾아 헤매기 일쑤다. 다만 이들은 화면을 잘못 누르고도 대수롭지 않게 넘기거나 기계 설계 탓으로 돌리는 반면, 디지털 취약계층은 실수를 민망해하거나 자책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사회적 낙인이 디지털 기기 접근을 더 위축시킨다.

연구에 따르면 고령자는 윤곽이 분명한 버튼, 세로로 정렬된 메뉴, 일관된 색상을 선호한다. 디지털 취약계층이 기기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 애쓰는 것처럼 기기 또한 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하는 포용적 디자인을 추구해야 한다.
2025-08-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