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가정 양립’ 설문
70% “눈치 보이고 지원 인색”사업주 인식 개선 필요성 느껴
우리나라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출산·육아 지원에 인색한 직장 분위기 탓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도록 돕는 제도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 등은 지난 9월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일·가정 양립제도를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응답자의 68.8%가 ‘직장 내 분위기’를 꼽았다고 21일 밝혔다.
‘경제적 부담’ 때문이라는 답변은 26.6%였고, ‘지속적인 자기 경력 개발’을 이유로 든 응답자는 4.2%에 그쳤다. 일·가정 양립제도 확산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한 물음에도 41.5%가 ‘사업주의 인식 개선’이라고 답했다.
일·가정 양립에 가장 필요한 제도로는 가장 많은 95.1%가 출산휴가를, 93.7%가 육아휴직을 꼽았다. 남성 육아휴직(90.2%), 근로자가 일하는 시간과 장소를 조정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88.4%) 등 다른 제도에 대한 평가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유아 돌봄 서비스 관련 정책 중에서는 가장 많은 사람이 국공립 어린이집과 직장 어린이집 등 부모가 선호하는 어린이집을 확충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답했다. 국공립·직장 어린이집은 2012년 말 2726개에서 올해 3745개로 37.4% 증가했으나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는 매년 국공립 어린이집 150곳, 직장 어린이집 80곳을 확충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50명 이하의 소기업일수록,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이 상대적으로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된 만큼 중소기업 맞춤형 일·가정 양립제도 매뉴얼을 제작·배포하는 등 현장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 제도의 사용 기간을 최장 2년으로, 분할 사용 횟수도 현재 2회에서 최대 3회로 늘리는 내용의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국회에 계류돼 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1-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