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 내 현장에’ 공염불… 사고 3시간 후 도착

‘1시간 내 현장에’ 공염불… 사고 3시간 후 도착

황경근 기자
입력 2015-09-09 00:00
업데이트 2015-09-09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상사고 골든타임 체제 못 지켰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장담한 해상사고에서 ‘1시간 골든타임 체제’ 구축은 헛구호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제주 추자도 돌고래호 전복 사고’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심지어 사고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지 못한 초기 안일한 상황 판단은 늑장 보고와 늑장 출동으로 이어졌다. 해경은 단 한 사람의 인명도 구조하지 못한 채 골든타임을 허비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8일 오전 전남 해남읍 다목적생활체육관에 마련된 돌고래호 사고 연고자 대기소에서 한 사고 피해자 가족이 괴로워하고 있다. 해남 연합뉴스
8일 오전 전남 해남읍 다목적생활체육관에 마련된 돌고래호 사고 연고자 대기소에서 한 사고 피해자 가족이 괴로워하고 있다.
해남 연합뉴스


추자해경안전센터는 지난 5일 돌고래호의 항적 최종 소멸을 확인(오후 8시 25분)하고도 승선자 등에게 전화 연결을 시도하다 40여분이 지나서야 제주해경에 첫 상황보고를 했다. 승선자 전화 연결과 제주해경에 보고를 함께 진행해도 됐던 상황이었다. 야간 수색이 가능한 제주해경의 AS565 팬더 헬기는 수리·정비(8월 28일~11월 8일)로 투입조차 하지 못했다. 제주해경의 경비정은 돌고래호의 항적이 소멸(오후 7시 39분)된 지 3시간여 만인 10시30분쯤 사고 해역에 도착했다. 사실상 골든타임에 구조작업은 없었던 셈이다.

1시간 내 사고 현장 도착을 목표로 창설한 국민안전처 중앙해양특수구조단도 무용지물이었다. 지난해 12월 구조·방재 전문 인력 62명으로 부산에 창설된 해양특수구조단은 사고 당일 김해공항의 기상 악화로 헬기를 띄우지 못해 육상으로 이동, 사고 발생 10시간이 지나서야 사고 해역 인근에 도착했다.

부산 1곳뿐인 특구단의 ‘전국의 해상사고 1시간 내 도착’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정부는 올해 서해권 구조대(목포)와 동해권 구조대(동해), 내년에 중부권 구조대(인천)를 각각 설치하고 제주권에는 2017년 구조대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도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추자도 주민 150여명은 8일 내륙 해안으로 떠밀려왔을지 모르는 실종자를 찾고자 이틀째 수색 작업에 힘을 보탰다. 8일까지 가족 대기소를 다녀간 자원봉사자는 20여개 단체 300여명에 이른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해남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5-09-09 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