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과 연계 月 10만~20만원씩 차등 지급

국민연금과 연계 月 10만~20만원씩 차등 지급

입력 2014-05-03 00:00
수정 2014-05-03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초연금 누가 얼마만큼 받나

기초연금법이 진통 끝에 2일 여야 절충안 형태로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노인들이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기초연금 지급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639만명 가운데 소득 상위 30%를 제외한 447만명으로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짧을수록 더 많은 기초연금을 받게 된다. 여야의 절충안은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의 노인에게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연계해 월 10만~20만원씩 기초연금을 차등 지급하되, 차등 지급 기준이 되는 12년 이상 국민연금 장기 가입자 중 수급액이 3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 12만명에게는 가입기간과 관계없이 예외적으로 20만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에 12년 가입한 노인은 1만원이 감액된 19만원을 받고, 13년 가입자는 18만원을 받는 등 1만원씩 감액돼 20년 가입자는 10만원을 받게 되는 식이다. 20만원을 다 받는 노인은 국민연금 수급액이 30만원 미만인 12만명을 포함한 406만명이다. 나머지 41만명은 차등 지급 계산법에 따라 10만~19만원을 받게 된다. 국민연금액이 30만~40만원인 사람(3만명)도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액을 합쳐 최소 50만원은 받을 수 있도록 보완 장치가 마련됐다.

이렇게 되면 기초연금액을 차등 지급하더라도 대부분의 노인들은 2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찍 국민연금에 가입한 지금의 청장년층이 기초연금을 받을 때가 되면 대부분이 12년 이상 가입자가 돼 지금과 같은 혜택을 받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국 대학교수 257명은 반대 선언문을 통해 “박근혜 정부의 기초연금법안은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현저히 약화시켜 공적연금이 존재하는 목적을 훼손하고 전 국민의 노후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노인들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하는 데 경상가 기준으로 2015년 연간 10조 3307억원의 예산이 들어갈 것이라고 봤다. 이후 노령인구 증가와 함께 금액도 지속적으로 늘어 2040년에는 100조 266억원, 2060년 228조 827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5-0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