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상인·NGO, “대형마트 ‘상생안’은 꼼수”

중소상인·NGO, “대형마트 ‘상생안’은 꼼수”

입력 2012-10-23 00:00
수정 2012-10-23 14: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7년 상생 결의문 채택 뒤 오히려 점포 늘려”유통산업발전법 개정 지연 의도” 지적…일부선 ‘기대’

대형마트들이 자발적 출점 제한, 자율 휴무를 통해 중소 상인들과 상생을 모색하겠고 약속했지만 충북의 중소상인들과 시민단체들은 생색내기식 ‘꼼수’에 불과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홈플러스와 이마트를 비롯한 대형마트 대표들은 지난 22일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 주재로 상인단체 대표들과 만나 대·중소 유통업계가 자발적으로 협의체를 만들어 상생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출점 제한과 자율 휴무를 통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보호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러나 전통시장 상인들은 “대형마트가 과연 진정성이 있는지 의심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청주전통시장상인연합회 이명훈 회장은 “지방자치단체 조례가 잘못됐다면서 소송까지 벌이며 의무휴업을 회피하는 대형마트들이 내세우는 ‘상생’에 진정성이 담겼겠느냐”고 반문했다.

실제로 대형마트들은 중소 상인들의 볼멘소리가 커지던 2007년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출점을 자제하고 중소상인들과 상생하겠다’는 취지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 결의문은 ‘공약(空約’에 그쳤다.

오히려 그해 말 전국 대형마트 점포수가 33개(10%)나 더 늘어났다. 상생을 외치면서 점포수를 늘리는 대형마트의 행태는 중소 상인들의 공분을 사기에 충분했다.

이 때문에 중소 상인들은 이번 대형마트들의 상생 의지 표명 이면에도 다른 ‘꼼수’가 숨어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복합쇼핑몰 영업 규제, 월 4회 의무휴업 등 강한 규제 대책을 담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국회에 상정되는 위기에 직면하자 ‘자율 상생’을 내세워 법안 처리를 지연시키려는 의도 아니냐는 얘기다.

시민단체들은 대형마트가 월 2차례의 의무휴업 조처에 반기를 들어 자치단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황에서 중소 상인들과의 상생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충북경실련 최윤정 사무국장은 “대형마트들이 진정한 상생 의지를 갖고 있다면 자치단체를 상대로 낸 소송을 취하한 뒤 상생발전협의회에 동참하는 것이 순리”라고 꼬집었다.

그러나 일부 상인들은 대형마트의 상생 의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청주슈퍼마켓협동조합의 최익완 상무는 “쇼핑몰 내의 대형마트가 의무휴업에 동참하고, 대형마트가 출점을 자제한다면 중소상인들의 숨통이 트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이숙자 운영위원장(대한민국 운영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15일 방배카페골목에서 진행된 상권 활성화 축제 ‘방가방카’에 참석해 주민과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했다. 방배카페골목은 이동과 휴식, 만남 등이 이뤄지는 생활권 골목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 상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과 주민들은 골목을 이용하며 느낀 점과 상권이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 이와 함께 상권 환경 개선과 이용 편의성에 관한 의견도 이어지며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방가방카’ 축제가 열린 방배카페골목은 1970~80년대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졌던 장소로, 현재도 축제·문화행사·일상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찾는 생활권 골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별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르지만 꾸준한 이용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상권으로서의 역할이 확인된다. 이 위원장은 “방배카페골목은 70~80년대 많은 시민이 찾던 공간이었으며, 서울시 상권분석에서도 인사동·성수동과 함께 방문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옛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초구의 협력이 중요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방배카페골목 방문… “골목상권, 지속 가능한 브랜드화 필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