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 자율형 사립고(자사고)로 전환한 서울 A고등학교 입학담당 최모(51) 부장교사는 최근 밤마다 잠을 설친다. 내년도 신입생 원서 접수 기간이 다가오면서 미달 사태를 빚었던 지난해의 악몽이 재현될까 두려워서다.
A고는 지난해 신입생 미달 사태를 겪었다. 지난달 중순 입학설명회를 열었지만 대강당에 마련해 놓은 500여석의 의자는 반도 차지 않았다. 최 교사는 “요새 인근 지역 중학교의 3학년 담임교사나 진학교사를 만나 우리 학교를 좋게 얘기해 달라고 부탁하지만 주변 자사고들이 다 비슷한 처지라 부탁하기도 민망하다.”고 말했다.
현 정부 교육정책의 핵심 축인 자사고가 도입 3년째를 맞이하면서 성공과 실패의 기로에 섰다. 2010년 도입 이후 불과 3년 만에 일반고로 전환하는 학교가 나왔는가 하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자사고 타이틀을 떠안고 있는 학교도 있다. 반면 자사고가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만큼 이들의 대입 성적표에 따라 자사고의 인기가 치솟을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나온다.
‘자사고 실패론’은 올해 초 서울 지역 자사고를 중심으로 신입생 미달 사태로 인한 일반고 전환과 정원 감축이 이슈가 되면서 떠올랐다. 일반고에 비해 학비가 3배나 비싼데도 차별성 없는 교육과정이 문제였다. 전국 50개 자사고 가운데 14곳에서 지난해 신입생 미달 사태를 겪었다. 서울에서는 동양고와 용문고가 2년 연속 지원자 미달 사태를 겪으며 일반고로 전환됐다.
미달 사태로 신입생 정원을 줄여 달라는 요청도 나왔다. 서울 우신고와 경문고 등이 학교 운영 부담으로 학급을 줄이면서 내년 서울 지역 자사고 신입생 정원이 630명 줄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신일고가 학급 감축을 요청했지만 이를 받아들일 경우 이 지역 자사고 입학 정원이 줄게 돼 학생선택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학급 감축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자사고를 떠나는 학생 수도 늘고 있다. 서울 지역 자사고의 학생 이탈률은 2010년 3.4%에서 지난해 4.2%로 늘었고 민족사관고, 하나고 등 전국 단위 모집 자사고의 경우도 2010년 2.7%, 지난해 3.1%로 올랐다. 서울 지역 한 자사고의 박모(44) 교사는 “대입 수시모집 비중이 확대되면서 내신을 중시하는 경향이 커져 2학년에 올라가면서 일반고로 전학 가는 학생이 십여명은 훌쩍 넘는다.”고 토로했다.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이현희(52·여)씨도 “학부모들 사이에 자사고는 수능에서 특목고에 치이고 수시에서 중요한 내신은 일반고에 치인다는 시각이 퍼져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사고 실패를 거론하기는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난해 미달 사태를 빚은 자사고들은 주로 교육 환경이 낙후된 지역에 많이 있어 자사고를 지원하는 학생 수가 적은 것이 주요 원인”이라면서 “자사고 졸업생들이 입학사정관제나 특기자 전형에 더 유리할 것으로 보여 자사고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임성호 하늘교육 이사 역시 “올해 13개 자사고가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데 모의평가 등의 성적을 보면 일반고보다 월등히 좋다는 분석이 있다.”면서 “이들의 대학 진학 결과에 따라 자사고의 인기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도 신입생 미달은 일부 학교의 문제일 뿐 다른 학교에서는 정상적으로 운영된다는 입장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지난해 조사 결과 자사고 학생들의 수업만족도가 5점 만점에 3.54점으로 자율형 공립고의 3.32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면서 “올해 첫 편제가 완성된 만큼 앞으로 자사고가 특화된 프로그램과 교육 만족도를 홍보하게 될 경우 정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A고는 지난해 신입생 미달 사태를 겪었다. 지난달 중순 입학설명회를 열었지만 대강당에 마련해 놓은 500여석의 의자는 반도 차지 않았다. 최 교사는 “요새 인근 지역 중학교의 3학년 담임교사나 진학교사를 만나 우리 학교를 좋게 얘기해 달라고 부탁하지만 주변 자사고들이 다 비슷한 처지라 부탁하기도 민망하다.”고 말했다.
현 정부 교육정책의 핵심 축인 자사고가 도입 3년째를 맞이하면서 성공과 실패의 기로에 섰다. 2010년 도입 이후 불과 3년 만에 일반고로 전환하는 학교가 나왔는가 하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자사고 타이틀을 떠안고 있는 학교도 있다. 반면 자사고가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만큼 이들의 대입 성적표에 따라 자사고의 인기가 치솟을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나온다.
‘자사고 실패론’은 올해 초 서울 지역 자사고를 중심으로 신입생 미달 사태로 인한 일반고 전환과 정원 감축이 이슈가 되면서 떠올랐다. 일반고에 비해 학비가 3배나 비싼데도 차별성 없는 교육과정이 문제였다. 전국 50개 자사고 가운데 14곳에서 지난해 신입생 미달 사태를 겪었다. 서울에서는 동양고와 용문고가 2년 연속 지원자 미달 사태를 겪으며 일반고로 전환됐다.
미달 사태로 신입생 정원을 줄여 달라는 요청도 나왔다. 서울 우신고와 경문고 등이 학교 운영 부담으로 학급을 줄이면서 내년 서울 지역 자사고 신입생 정원이 630명 줄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신일고가 학급 감축을 요청했지만 이를 받아들일 경우 이 지역 자사고 입학 정원이 줄게 돼 학생선택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학급 감축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자사고를 떠나는 학생 수도 늘고 있다. 서울 지역 자사고의 학생 이탈률은 2010년 3.4%에서 지난해 4.2%로 늘었고 민족사관고, 하나고 등 전국 단위 모집 자사고의 경우도 2010년 2.7%, 지난해 3.1%로 올랐다. 서울 지역 한 자사고의 박모(44) 교사는 “대입 수시모집 비중이 확대되면서 내신을 중시하는 경향이 커져 2학년에 올라가면서 일반고로 전학 가는 학생이 십여명은 훌쩍 넘는다.”고 토로했다. 고3 수험생 자녀를 둔 이현희(52·여)씨도 “학부모들 사이에 자사고는 수능에서 특목고에 치이고 수시에서 중요한 내신은 일반고에 치인다는 시각이 퍼져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사고 실패를 거론하기는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난해 미달 사태를 빚은 자사고들은 주로 교육 환경이 낙후된 지역에 많이 있어 자사고를 지원하는 학생 수가 적은 것이 주요 원인”이라면서 “자사고 졸업생들이 입학사정관제나 특기자 전형에 더 유리할 것으로 보여 자사고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임성호 하늘교육 이사 역시 “올해 13개 자사고가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데 모의평가 등의 성적을 보면 일반고보다 월등히 좋다는 분석이 있다.”면서 “이들의 대학 진학 결과에 따라 자사고의 인기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도 신입생 미달은 일부 학교의 문제일 뿐 다른 학교에서는 정상적으로 운영된다는 입장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지난해 조사 결과 자사고 학생들의 수업만족도가 5점 만점에 3.54점으로 자율형 공립고의 3.32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면서 “올해 첫 편제가 완성된 만큼 앞으로 자사고가 특화된 프로그램과 교육 만족도를 홍보하게 될 경우 정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10-0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