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균 서울대 교수 연구팀 기억 재구성 메커니즘 규명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기억을 떠올려 다시 저장되는 과정을 시냅스(뇌 신경세포의 연결부위)에서 관찰하고, 기억을 조절하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신호에 실렸다.
기억은 저장 기간에 따라 수초에서 수십분 유지되다 사라지는 ‘단기기억’과 오랜 기간 유지되는 ‘장기기억’으로 구분된다. 장기기억은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합성을 통해 시냅스의 구조가 공고해지는 ‘경화’(硬化) 과정을 거치며 형성된다. 기억을 다시 떠올릴 때는 ‘재경화’ 과정을 통해 저장된다.
강 교수팀은 바다달팽이의 일종인 군소의 꼬리에 반복적인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 공포 기억이 재경화되도록 한 결과 재경화 과정에서 시냅스에 있는 단백질이 분해될 때 기억이 약해지고, 다시 합성될 때 기억이 강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단백질 분해 상태에서 합성으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단백질 합성 저해제를 사용하자 군소는 공포 기억을 저장하지 못하고 잃어버렸다. 사람에게 이런 기술을 적용하면 좋지 않은 기억을 떠올리게 한 뒤 단백질 합성을 저해해 기억을 골라서 지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특정 기억을 유지하거나 지우는 과정으로 응용한다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처럼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발생하는 정신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9-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