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없는 수문개방에 유치원생 3개월째 혼수상태

예고없는 수문개방에 유치원생 3개월째 혼수상태

입력 2012-07-24 00:00
수정 2012-07-24 15: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은서 하천 건너던 남매 급류 휩쓸려

“애교 많던 딸 아이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이 눈에 밟힙니다. 아이가 이 지경인데 책임진다는 사람이 아무도 없습니다”

충북 보은군 보은읍 이평리 이용태(36)씨는 3개월째 병원 침대에 누워 의식을 찾지 못하는 어린 딸(7)걱정에 요즘 뜬 눈으로 밤을 지새운다.

”유치원에 다녀오겠다”면서 집을 나간 딸이 집 앞 하천을 건너다 급류에 휘말려 지금까지 사경을 헤매고 있기 때문이다.

이양은 지난 4월 30일 오후 3시께 집 앞 하천을 가로막은 ‘보(洑)’에서 갑자기 물줄기가 쏟아지는 바람에 함께 있던 오빠(11)와 함께 급류에 휩쓸렸다.

거센 물살에 뒤엉켜 500여m를 떠내려가던 남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구조대에 가까스로 구조됐지만 이양은 의식을 잃은 상태였다.

사고가 난 ‘월송보’는 인근 농경지에 물을 대기 위해 2년 전 보은군이 폭 60m의 하천을 막아 1.5m 높이로 설치한 것인데, 한국농어촌공사 보은지사가 관리하고 있다.

이 보에는 너비 42m의 ‘자동수문’이 설치돼 수위가 높아지면 자동으로 문을 열어 물을 흘려보낸다.

사고 직전 보은군은 이곳으로부터 하천 위쪽으로 약 750m가량 떨어져 있는 ‘이평보’의 수문을 열고 물을 방류했다. 이 물이 곧바로 ‘월평보’의 수위상승을 불렀고 ‘자동수문’이 열리면서 사고를 불렀다.

보은군청의 담당 공무원은 “’이평보’ 주변 농경지에 물이 차고 있다는 민원에 따라 수문을 열어 수위를 20㎝가량 낮춘 것”이라며 “많은 양이 아니어서 ‘월송보’ 자동방류로 이어질 것은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국농어촌공사의 한 관계자도 “’이평보’ 방류로 인해 ‘월송보’의 자동수문이 열렸는데도, 보은군으로부터 방류계획 등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두 기관의 볼썽사나운 책임 공방은 이씨를 더욱 화나게 한다.

이씨는 “어린 생명이 사경을 헤매는데도 누구 하나 책임지려는 사람이 없다”며 “하는 수 없이 보은군과 한국농어촌공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한편 보은경찰서는 ‘이평보’ 관리 담당인 보은군청 공무원 2명을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입건, ‘기소’ 의견을 달아 검찰에 송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