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中 방공식별구역 불인정”

정부 “中 방공식별구역 불인정”

입력 2013-11-26 00:00
수정 2013-11-26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대사관 통해 공식 통보

정부는 25일 주한 중국대사관 무관인 쉬징밍(徐京明) 중국 군 소장(우리 준장)과 천하이(陳海) 공사참사관을 각각 국방부와 외교부로 초치해 중국이 일방적으로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인정할 수 없다고 공식 통보했다.

국방부는 중국 군이 자국이 설정한 방공식별구역에 포함된 이어도 상공에서 우리 항공기에 대한 방어 조치를 취할 경우 이를 도발로 간주할 것이라는 우리 측 경고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은 이날 쉬 무관에게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이 우리 방공식별구역(KADIZ)의 제주도 서남방 일부 지역과 중첩되고 이어도 상공을 포함한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 심의관도 천 공사참사관에게 유감의 뜻과 함께 외교적 문제로 비화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국방부는 중국 군 당국에도 방공식별구역 설정과 상관없이 이어도 수역에 대한 우리 관할권은 유지된다는 방침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류 실장은 중국 측에 방공식별구역 문제를 오는 28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3차 한·중 국방전략대화의 주요 의제로 제안했다. 이에 따라 백승주 국방부 차관과 왕관중(王冠中) 중국 군 부총참모장 간의 한·중 국방전략대화를 통해 방공식별구역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중 양국은 또 우발적 충돌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양국 국방부 또는 합동참모본부(중국은 총참모부) 간 ‘군사 핫라인’을 구축하는 문제도 협의할 예정이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부는 (중국에) 통보하지 않고 우리 항공기를 (중국의 방공식별구역에) 통과시킨다는 방침”이라며 “중국이 방어 조치를 한다면 그것은 도발”이라고 강조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11-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