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율 “대통령실도 ‘김건희 리스크’ 잘 알고 있어…말을 못할 뿐”

김경율 “대통령실도 ‘김건희 리스크’ 잘 알고 있어…말을 못할 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4-01-08 14:09
업데이트 2024-01-08 15: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경율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서울신문 DB
김경율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서울신문 DB
김경율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이 8일 “(4월 총선을 위해서는)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잠재울 수 있는 뚜렷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대통령실 김건희 여사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대해 “(내가) 만나봤던 국민의힘 국회의원과 대통령실 직원분, 심지어는 전직 장관들 모두가 정확한 인식을 갖고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많은 분들이 ‘특검은 악법’이라는 부분에 동의하면서도, 국민 여론이 70% 가까이 특검에 찬성하는 것을 (윤석열 대통령에) 이야기 못 할 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모두 다 그걸 알지만 말을 못할 뿐”이라고 전했다. 이른바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상황이라는 것이다.

김 위원은 “특검의 실체와 상관없이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어떤 식으로 제어할 것인지, 반감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많은 말이 나오고 있다”며 “대통령실 제2부속실(영부인 전담조직)과 특별감찰관 설치는 당연하다. ‘플러스 알파’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대위 내에서 ‘김건희 리스크’라는 여섯 글자가 아직 안 나오는데, 외부 비대위원 모두 다 민간인이라 아직 분위기조차 익히기 힘들다”면서 “(특검법 찬성 여론이 지속되면) 제2부속실 설치가 진행되더라도 당연히 (김건희 리스크에 대해) 얘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선, 4선 의원도 알고 있고 용산 대통령실도 알고 있고 전직 장관도 알고 있는데 (김건희 리스크라는) 여섯 글자를 지금 (누구도) 말 못 하는 상황”이라며 “돌아갈 곳이 있어야 잘 싸운다고 생각하는데, 저는 언제고 돌아갈 곳(본업인 회계사 업무)이 있기 때문에 (비대위에 김건희 리스크를) 얘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동훈 비대위원장과 윤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 알 수 없다”면서도 “우선 (양측은) 독립적인 관계를 맺어야 되고 수평과 수직의 관계로 따지자면 수평적이어야 된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국민의힘은) 용산 대통령실 입김으로부터 조금은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정당이 돼야 하지 않나 싶다”며 “그래야만 국민들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마무리했다.
류지영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