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추경은 타이밍…조속한 시일내 통과시켜달라”

유일호 “추경은 타이밍…조속한 시일내 통과시켜달라”

입력 2016-08-24 09:18
수정 2016-08-24 09: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년 예산 최대한 확장적 편성…재정수지·국가채무 비율 개선 전망”“본예산 청년 일자리 창출에 중점…게임산업 등 청년 선호 일자리 확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추경의 시점을 감안해 되도록 조속한 시일 내에 꼭 통과시켜주길 다시 한번 부탁한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 편성을 주제로 열린 새누리당과의 당정 협의회에서 “추경은 본예산과 달리 타이밍”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유 부총리는 이어 “지난 22일 통과하기로 합의한 날짜가 이미 지났더라도, 지금이라도 조속히 통과시켜달라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린다”면서 “추석 전에 빨리 집행되기 시작해야 4개월 동안 많은 계획된 사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자꾸 타이밍을, 시점을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부총리는 내년도 예산 편성 방향과 관련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력 제고를 최우선으로 해 중장기 재정 건전성은 유지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확장적으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또 “내년 국세 수입이 증가하기 때문에 재정수지와 국가채무 비율은 당초 중기 계획보다는 조금 개선될 전망”이라며 “지출 쪽은 일자리, 저출산, 문화융성 투자에 역점을 뒀고 SOC(사회간접자본) 분야 등은 내실화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특히 “내년 예산은 청년의 미래 위한 일자리 창출에 제일 중점을 뒀고, 그것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와 민생 안정으로 연결되도록 할 계획”이라며 “게임 산업 등 청년이 선호하는 유망 산업 일자리 확대와 창업 성공 패키지 신규 도입으로 청년 창업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경력단절 여성 지원금 확충 ▲노인 일자리 확대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과 고용복지센터 확대 ▲범부처 합동 R&D(연구개발) 프로젝트 추진 ▲지방의 신성장 고부가가치 사업 집중 투자 ▲문화창조 융합벨트 인프라 구축 완료 ▲지역별 핵심 관광자원 패키지화 ▲수출 중소기업 및 지역 경제 지원 확대 ▲동남아시아와 중남미로 농수산물 수출 시장 다변화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 위한 전용 R&D 사업 신설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국방·치안 예산과 관련해 “핵심전력에 대한 투자를 올리고 병사 봉급 인상과 병영생활관 에어컨 보급 등 병영 환경 개선에 힘쓰겠다”면서 “기동순찰대 확대, 노후헬기 버스 교체 등으로 치안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국가 관리시설의 내진 보강 투자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