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 외치던 새누리 공천 어떻게 진행됐나

쇄신 외치던 새누리 공천 어떻게 진행됐나

입력 2012-08-02 00:00
수정 2012-08-02 1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천헌금 논란..”공천, 쇄신의 화룡정점” 박근혜 구호 빛바래나

새누리당의 제19대 총선 공천은 ‘국민 눈높이’와 ‘쇄신’을 전면에 내걸고 진행됐다.

지난해 10ㆍ26 서울시장 선거 패배를 비롯한 대형 악재가 잇따라 터지며 총선을 앞두고 벼랑 끝에 몰린 새누리당은 당명 개정을 시작으로 한 쇄신의 종착점으로 일찌감치 ‘공천 개혁’을 꼽았다.

친이(친이명박)계가 당권을 장악한 지난 18대 총선 공천 당시 ‘친박(친박근혜) 학살’이라는 극심한 계파 간 갈등을 낳았다는 점에서 친박계가 당의 전면에 선 상황에서 계파 안배도 관심을 모았다.

당의 최대주주인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당시 “공천은 정치쇄신의 핵심”이라며 “쇄신 작업을 용(龍)이라고 한다면 공천 작업은 마지막 눈을 그려넣는 화룡점정”이라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천을 강조했다.

공천은 지난 1월31일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 구성을 시작으로 비례대표 공천이 마무리된 3월20일까지 50일간 진행됐다. 지역구의 경우 전국 245개 선거구에 974명이, 비례대표 공천에는 616명이 신청했다.

공천 초반부터 경쟁력지수 및 교체지수를 통한 현역 의원 하위 25% 컷오프 논란을 비롯해 ‘현역 50% 이상 물갈이론’이 제기되고 공천위에 친박계 인사 일부가 포함되면서 공정성ㆍ투명성 잡음이 발생했다.

당내 쇄신파인 정두언 의원은 “공천 과정이 공포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천위 안에 굉장히 위태하고 불안한 사람이 있다”고 주장하는 등 ‘보이지 않는 손’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실제로 ‘현역 의원 25% 컷오프’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남에 따라 낙천한 영남권 현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탈당 및 무소속 출마’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당 전체는 요동쳤고 불공정 공천 논란은 심화됐다.

이에 대해 공천위는 “당내 인사 누구도 공천을 좌지우지할 수 없다”며 행로 수정을 하지 않았고, 한때 친박계 좌장으로 불렸으나 낙천 가능성이 점쳐진 김무성 의원이 ‘백의종군’을 선언하면서 공천 잡음은 어느정도 진화됐다.

그러나 공천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면서 일부 공천자에 대한 도덕성ㆍ위법 논란이 거세게 제기되며 또다시 진통을 겪었다. 전면에 내건 ‘쇄신 공천’의 빛이 바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공천위는 서울 강남갑과 강남을에 각각 공천된 박상일ㆍ이영조 후보의 역사인식 문제가 쟁점으로 급부상하면서 민심이 악화될 기미를 보이자 3월14일 이들의 공천을 전격 철회하며 신속한 진화에 나섰다.

또한 여성비하 발언 논란에 휩싸인 경북 고령ㆍ성주ㆍ칠곡의 석호익 후보와 금품제공 논란을 빚은 경북 경주의 손동진 후보에 대해서도 자진철회 형식으로 공천을 취소했다.

결국 새누리당은 현역 물갈이 폭이 역대 최고수준인 41%에 달하는 공천을 완료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의 공천 논란은 4ㆍ11 총선이 끝난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총선에서는 당선됐으나 성추문 논란을 빚은 김형태(경북 포항 남ㆍ울릉) 의원과 논문 표절 의혹에 직면한 문대성(부산 사하갑) 의원 등이 새누리당을 탈당, 공천 과정에서의 부실 검증 논란이 일었다.

여기에 중앙선관위가 2일 ‘공천헌금’ 혐의로 전 공천위원인 현기환 전 의원을 검찰에 수사의뢰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쇄신’을 내건 새누리당의 제19대 총선 공천은 재평가될 전망이다.

현 전 의원은 혐의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있으나 당 일각에서 공천 과정에서 부산지역 공천을 주도했다는 평가가 있었다.

현 전 의원에게 3억원을 공천헌금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비례대표 현영희 의원은 부산의 한 지역구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바 있다.

검찰 수사 결과 공천헌금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새누리당의 ‘쇄신 공천’의 빛은 크게 퇴색하고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대권국면에서도 메가톤급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박석 서울시의원 “우이방학 경전철 기공식 개최 환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지난 24일 방학사계광장에서 열릴 예정인 우이신설 연장선 도시철도 건설사업 기공식 개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우이신설 연장선은 솔밭공원역에서 1호선 방학역까지 총 3.93㎞ 구간, 3개 정거장을 신설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4690억원 규모이다. 박 의원은 “우이방학 경전철은 2011년 예비타당성조사 완료 후 10여 년 넘게 사실상 답보 상태였던 주민 숙원사업”이라며 “‘임기내 착공’을 공약으로 걸고 당선된 지 3년 만에, 2023년 수요예측 재조사 완료, 2024년 기본계획 승인 및 중앙투자심사 완료, 2025년 시공사 선정과 오늘 기공식까지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주민들과의 약속을 지키게 되어 매우 뜻깊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 의원은 사업 추진 단계마다 서울시 및 관계부처와 긴밀하게 협조하며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관계부처 반대가 가장 큰 고비였지만 포기하지 않고 협의를 이어가 원안을 지켜낸 것이 착공까지 이어진 결정적 계기였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 의원은 “민자방식 지연, 단독입찰로 인한 유찰 등 난관 속에서도 발주 방식 조정과 공사비 현실화 등 해결책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우이방학 경전철 기공식 개최 환영”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