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친이계, 4ㆍ11총선 공천 속앓이

與 친이계, 4ㆍ11총선 공천 속앓이

입력 2012-02-08 00:00
수정 2012-02-08 1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상돈 비대위원의 용퇴압박에 ‘부글부글’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구주류 친이(친이명박)계가 4ㆍ11 총선 공천국면에서 속앓이를 하고 있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장악한 당 지도부가 이명박 정부와의 확실한 선긋기 차원에서 이번 공천심사 과정에서 친이를 대부분 솎아내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에 따른 것이다.

특히 공천 심사를 담당하는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에 친이를 대변해 줄 인사가 단 한 명도 없다는 점에서 친이 의원들은 답답함과 함께 막연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박 비대위원장이 수차례 객관적 기준에 따른 공정 공천을 천명했지만 주변 인사들이 공개적이면서도 반복적으로 ‘MB정부 실세 용퇴론’을 제기하면서 친이 내부에선 “박 비대위원장과 측근들이 치고 빠지는 식으로 서로 짜고 치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표출되는 상황이다.

용퇴론을 처음 제기한 이상돈 비대위원은 8일에도 친이계 이재오 홍준표 의원과 함께 지난해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했다가 패배한 나경원 전 의원의 출마가 바람직하지 않다며 용퇴를 공개 압박했다.

이 비대위원은 이들 3명의 실명을 거론하며 사실상 총선 불출마를 촉구했다.

그는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구(舊)체제를 상징한 분들이 총선에 나가면 국민이 볼 때 과연 이게 바뀐 정당이냐는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면서 “새로운 흐름에 현저하게 배치되는 분들은 자연스럽게 물러나야 한다는 공감대가 공천위에 있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친이계는 이 비대위원의 발언에 부글부글 끓고 있다. 위기에 처한 당의 발목을 잡는다는 비판을 받을까 우려하며 맞대응은 자제하고 있지만 불쾌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수도권의 한 친이 의원은 “친이를 무조건 배제하겠다는 것이냐”면서 “친박 인사들은 문제가 있고 쇄신 흐름에 맞지 않더라도 복당을 시키는 분위기인데 총선을 넘어 대선까지 염두에 두고 완벽한 ‘1인체제’를 만들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친이 다른 의원은 이 비대위원을 겨냥, “공천위까지 꾸려진 마당에 비대위원이 왜 자꾸 나서서 용퇴론을 꺼내느냐”면서 “비대위원인지 공천위원인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여권 관계자는 “통합으로 가는 야권과 달리 여권은 계속 분열과 단절로만 가는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황철규 서울시의원 “저와 성수동 주민들은 성진학교를 반대하지 않습니다”

‘명품동네에 명품학교’, ‘님비(NIMBY)’, ‘장애인 차별’…. 성진학교 설립을 둘러싸고 황철규 서울시의원과 성동구 주민들에게 쏟아진 비난의 단어들이다. 일부 언론은 황 의원과 주민들이 성진학교 설립을 반대하는 것처럼 몰아갔고, 서울시교육청은 “차질 없는 설립”을 내세우며 책임에서 한발 비켜선 듯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황 의원은 “성진학교 설립을 결코 반대한 적이 없으며, 오히려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대안을 제시해왔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서울시의회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성진학교 설립 및 성수공고 부지 활용과 관련해 “성진학교 설립을 단 한 번도 반대한 적이 없으며, 오히려 더 안전하고 적합한 부지를 찾자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 왔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성진학교는 발달·지체장애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학교이며, 지금까지 설립이 지연된 것은 교육청의 행정적 지연 때문일 뿐 주민 반대로 늦춰진 적은 단 하루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황 의원은 “성수동 일대에 아파트 가구만 1만 세대가 넘고, 새로 1만 세대가 입주를 앞두고 있으나 인근 유일한 고등학교인 경일고가 도선고와 통합·이전하면 성수동에는 단 한 곳의 고등학교도 남지
thumbnail - 황철규 서울시의원 “저와 성수동 주민들은 성진학교를 반대하지 않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