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는 22일 “4대강 살리기는 죽어가는 강을 생명이 살아 숨쉬는 강으로 바꾸는 역동적인 생명운동이자 환경운동”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숲에서 열린 ‘세계 물의 날’ 기념식에 참석,치사를 통해 “지금 물부족 문제는 결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며,정부가 우리 강 가꾸기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구촌에서 물 부족으로 고통받는 사람만 10억명에 달하며,매년 수백만명 이상이 오염된 물로 인해 심각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제 ‘석유파동’이 아니라 ‘물파동’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세계경제포럼(WEF)의 경고”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4대강 살리기는 부족한 수량을 확보하고 오염된 수질을 개선해 생명의 강,환경의 강,문화의 강을 만드는 대역사이며,무엇보다도 가뭄과 홍수라는 후진국적인 연례행사에서 벗어나 충분한 물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 총리는 또 “4대강은 우리 국민이 언제든 찾아가 쉬고 즐기는 레저.문화.관광의 중심으로 거듭나서 지역경제를 힘차게 이끄는 녹색성장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강산을 풍요롭게 가꾸는 노력은 4대강이 끝이 아니다”면서 “다른 국가하천과 지방하천,그리고 마을의 실개천도 4대강과 연계,건강한 생태하천으로 변모시킬 계획”이라고 했다.
정 총리는 이어 물의 재활용을 통한 자원절약,수돗물 누수 방지,농어촌과 도서지역의 상수도 보급 확대,저소득층 수도요금 경감 등에 정부가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숲에서 열린 ‘세계 물의 날’ 기념식에 참석,치사를 통해 “지금 물부족 문제는 결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며,정부가 우리 강 가꾸기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구촌에서 물 부족으로 고통받는 사람만 10억명에 달하며,매년 수백만명 이상이 오염된 물로 인해 심각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제 ‘석유파동’이 아니라 ‘물파동’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세계경제포럼(WEF)의 경고”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4대강 살리기는 부족한 수량을 확보하고 오염된 수질을 개선해 생명의 강,환경의 강,문화의 강을 만드는 대역사이며,무엇보다도 가뭄과 홍수라는 후진국적인 연례행사에서 벗어나 충분한 물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 총리는 또 “4대강은 우리 국민이 언제든 찾아가 쉬고 즐기는 레저.문화.관광의 중심으로 거듭나서 지역경제를 힘차게 이끄는 녹색성장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강산을 풍요롭게 가꾸는 노력은 4대강이 끝이 아니다”면서 “다른 국가하천과 지방하천,그리고 마을의 실개천도 4대강과 연계,건강한 생태하천으로 변모시킬 계획”이라고 했다.
정 총리는 이어 물의 재활용을 통한 자원절약,수돗물 누수 방지,농어촌과 도서지역의 상수도 보급 확대,저소득층 수도요금 경감 등에 정부가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